2020~2024년 장기기증 수술 7천515건…69.2%가 수도권에 집중
지방 병원들, 이식 전담팀과 응급 수술 시스템 갖추지 못해
지방에서 뇌사 장기기증자가 발생하더라도 실제 장기이식 수술의 70%가 수도권에서 이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 인프라의 수도권 쏠림 현상이 장기이식 현장에서도 고스란히 드러나고 있다는 지적이다.
23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서미화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장기조직기증원과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20~2024년) 장기기증 수술 건수는 모두 7천515건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서울과 경기, 인천 등 수도권에서 진행된 이식 수술은 5천201건으로 전체의 69.2%를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경남이 541건(7.2%)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부산 510건(6.8%), 대구 428건(5.7%), 광주 253건(3.4%), 충남 116건(1.5%), 강원 87건(1.2%), 전북 76건(1.0%), 울산 57건(0.8%), 제주 27건(0.4%), 충북 17건(0.2%) 순이었다. 경북은 단 한 건의 수술도 이뤄지지 않았다.
장기이식 수술의 수도권 편중 원인으로는 대형병원과 전문 의료진이 서울·경기·인천 등에 몰려 있어서다. 장기이식 수술은 외과 전문의와 이식 코디네이터 등 숙련된 인력이 동시에 투입돼야 하지만, 대부분 지역 병원은 응급수술 체계를 갖추지 못한 실정이다.
대구 한 의과대학 교수는 "장기이식 수술은 팀으로 이뤄지는데 경주나 포항 같은 경북 지역에서는 그러한 의료체계가 없다"며 "장기이식이 워낙에 큰 수술이다 보니 가능하면 큰 병원이 있는 지역으로 가려 한다. 대구에서도 장기이식 수술이 가능하지만 수도권 빅5 병원으로 가려는 분들이 있다"고 말했다.
이로 인해 지방에서 뇌사 장기기증자가 발생하더라도, 수도권 병원의 의료진이 내려와 장기를 적출하고 다시 돌아가는 경우가 많다. 이 과정에서 시간과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면서 장기이식의 신속성과 효율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서미화 의원은 "일분일초가 중요한 장기이식 수술조차 지방의 의료 인프라 부족으로 인해 수도권에 편중되고 있다"며 "정부는 지역 의료 인프라를 확충하고 의료기관과 의료인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한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