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S 전문 교육과정 모델 및 소프트웨어 인프라 개발 계약 체결
국립창원대학교와 한국항공우주산업(주)[이하 "KAI"]는 '산학연계 IPS(Integrated Product Support) 전문 교육과정 모델 및 소프트웨어 인프라 개발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 금액은 총 50억 원이며, 계약 기간은 3년이다.
21일 킨텍스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5' KAI 전시관에서 개최된 이번 체결식은 국립창원대 박민원 총장, KAI 박경은 CS본부 전무를 비롯한 양 기관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이번 계약 체결식은 우주항공 분야 특성화 교육과정 및 방위산업 통합지원체계(IPS) 전문 교육기관으로서의 기반을 마련하고, 교육의 질 향상과 대학의 경쟁력 강화를 통해 양 기관의 상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추진됐다.
IPS(통합체계지원)는 무기체계 소요제기 단계부터 획득, 운용 유지 및 폐기 시까지 전 주기에 걸쳐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운용·유지를 위한 소요 식별, 설계 반영, 획득, 관리 활동 등을 총칭한다.
국립창원대와 KAI는 이번 계약을 통해 △IPS 교육 표준 플랫폼 △산·학·군 맞춤 확장형 IPS 교육 플랫폼 △VR·AI 융합 교육 플랫폼 등 IPS를 위한 3가지 교육 플랫폼을 공동으로 연구한다. 플랫폼이 개발되면 국립창원대에서 IPS 전문 교육 과정으로 2026년부터 시범 운영이 시작되고, 2028년부터는 정규 과정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VR·AI 적용 IPS 교육은 안정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시험평가, 정비훈련 등 실제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제거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원하는 만큼 반복 학습이 가능해 기존 이론 교육 대비 효과가 월등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립창원대 박민원 총장은 "국립창원대는 사천우주항공캠퍼스와 남해캠퍼스에 각각 우주항공공학과 및 정비 분야 전문학사 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창원캠퍼스에는 인공지능 등 첨단 기술 기반이 구축되어 있다"며 "이처럼 전국적으로 과학기술 전 분야를 포괄한 학사 체계를 갖춘 유일한 대학으로서, 이번 협약을 통해 KAI와 함께 IPS 교육뿐 아니라 AI, VI 등 미래 핵심 기술 개발에도 공동 참여해 IPS 분야의 세계적 거점 허브로 도약하겠다"고 강조했다.
KAI 박경은 CS본부 전무는 "이번 계약으로 항공기 등 무기체계 총 수명주기 동안 효율적인 운용을 가능하게 하는 IPS 분야의 교육 환경 개선과 전문 인력 양성이 기대된다"며 "IPS 교육 플랫폼은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방산 서비스 시장으로 확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국립창원대와 KAI는 산학협력을 기반으로 우주항공 및 방위산업 분야의 전문 인재 양성과 기술 경쟁력 확보에 큰 시너지를 이뤄낼 것으로 주목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