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한·일과 3자 통화스와프 추진…한·미 협상 지렛대 가능성도

입력 2025-10-22 15:55:49 수정 2025-10-22 19:49:21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중국이 한국과 일본을 상대로 3자 통화스와프 체결을 추진하며 아시아 금융안전망 강화와 위안화 국제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특히 이번 움직임은 한국이 미국과의 통화스와프 협상에서 지렛대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2일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판궁성 중국 인민은행 총재가 최근 워싱턴DC에서 열린 세계은행·IMF 연차총회 기간 중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를 만나 3자 통화스와프 추진 문제를 논의했다"고 전했다.

통화스와프는 양국 중앙은행이 일정 환율로 통화를 교환하는 협정으로, 금융위기나 급격한 환율 변동 때 유동성 공급 장치로 작동한다. SCMP는 "이번 논의가 기존 치앙마이 이니셔티브(CMICM)의 연장선일 수도, 별도의 3자 협정일 수도 있다"며 "이달 말 아세안 정상회의나 다음 달 APEC 회의에서 추가 논의가 예상된다"고 보도했다.

중국은 이미 전 세계 32개국 중앙은행과 스와프를 맺고 있으며 총 규모는 4조5천억 위안(약 904조4천550억원)에 이른다. 한국과는 2020년 4천억위안(약 80조3천880억원) 규모의 5년 만기 협정을 체결했는데, 이달 만료를 앞두고 있다. 일본과는 2024년 10월에 2천억위안(약 40조1천940원) 규모의 협정을 맺었다.

판궁성 총재는 앞서 IMF 회의에서 "무역 긴장이 세계 금융 안정을 훼손하고 있다"며 "글로벌 금융안전망을 재정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달러 의존도를 낮추고 위안화 중심의 지역 금융체계를 구축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이번 3자 스와프 논의는 한국 입장에서도 주목된다. 관세협상의 최종 합의가 중요한 한국 정부로서는 한·중·일 스와프 체결은 새로운 '지렛대 카드'로 작용할 수 있다. 최근 외환시장이 환율 1,420원대를 넘나들며 불안정한 가운데, 미국과의 통화스와프 재개 논의가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금융권 관계자는 "3자 스와프가 성사되면 한국은 '달러 의존도를 줄인다'는 메시지를 미국에 줄 수 있다"며 "이는 협상력을 높이는 전략적 신호가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