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소방차 진입 곤란 지역 83곳…좁은 골목·불법 주차, 피해 키운다

입력 2025-10-15 17:36:00 수정 2025-10-15 20:12:07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진입 어려운 곳 절반 이상 주거지
시장·공단 밀집 지역도 예외 없어… 대형 참사 우려
소방당국 "출동로 확보 훈련·소화기 확충 지속"

15일 오후 소방차 진입 곤란 지역으로 지정된 대구 북구의 한 골목. 정두나 기자.
15일 오후 소방차 진입 곤란 지역으로 지정된 대구 북구의 한 골목. 정두나 기자.

대구에 소방차 진입이 어려운 '사각지대'가 83곳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사각지대 대부분이 주거지인 탓에 불이 날 경우 제때 진압하지 못해 대규모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5일 대구소방안전본부에 따르면, 대구 지역 소방차 진입 곤란 지역은 모두 83곳이다. 이 중 일반 주거지역이 43곳, 공동주택이 18곳으로 70% 이상이 주거지에 집중돼 있다.

특히 진입 곤란 지역은 대체로 노후 주거지가 많고 도로가 좁은 지역에 몰려 있었다. 북구가 15곳으로 가장 많았고, 동구 14곳, 서구와 수성구가 각각 11곳으로 뒤를 이었다.

이날 오후 대구 북구 노원동의 한 골목. 오래된 아파트와 소규모 공장이 빽빽이 들어선 이곳은 도로 폭이 워낙 좁아 '소방차 진입 곤란 지역'으로 지정됐다.

좁은 골목에는 30대가 넘는 불법 주정차 차량이 늘어서 있었다. '주정차 금지' 안내판이나 단속 CCTV도 없어 사실상 방치된 상태였다. 골목 끝에는 비상용 소화 장치가 설치돼 있었지만, 주차된 차량에 가려 잘 보이지 않았다. 화재 발생 시 초기 진화가 어려워 대규모 피해로 번질 위험이 커 보였다.

이처럼 진입 곤란 지역 중에는 화재 사례가 많은 전통시장과 노후산단도 적잖다. 대구 전통시장 11곳과 산단 2곳이 포함됐다.

당장 개선도 쉽지 않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진입 곤란 사유의 94%가 도로 폭 협소(44곳)나 상습 불법 주정차(19곳) 등 도시 구조적 요인이었다. 반면 단순 장애물 등 빠른 개선이 가능한 경우는 4곳에 불과했다.

도로관리와 주정차 단속 권한을 쥐고 있는 일선 구청과 경찰·소방 간의 공조 부족도 문제다.

북구청 관계자는 "소방차 진입을 위해 미리 구청 차원에서 조치를 하면 좋겠지만 진입 곤란 지역이 어디인지 공유받지 못했다. 주장차 단속 권한은 있지만 구역 설정 권한은 경찰이 쥐고 있어 대응하기 어렵다"며 "정보가 공유되면 금지 표지판 설치와 단속 차량 등으로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대구소방안전본부 관계자는 "매달 소방출동로 확보 훈련과 홍보 활동을 실시한다"며 "골목길 안심소화기와 소화용수시설을 추가 배치해 대형 화재를 막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