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 출석한 쯔양 "사이버레커 피해, 두렵고 막막…오해 풀기 어려워"

입력 2025-10-15 06:40:44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2025년도 국정감사에서 유튜버 쯔양(본명 박정원)이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2025년도 국정감사에서 유튜버 쯔양(본명 박정원)이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인기 먹방 유튜버 쯔양(본명 박정원)이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 참고인으로 출석했다.

14일 쯔양은 '사이버레커(유명인 이슈를 악의적으로 짜깁기 해 수익을 올리는 유튜버)' 피해에 대해 증언하면서 "쉽지 않았다. 일반 시민, 직장인, 학생분들은 대응이 굉장히 어려울 것"이라고 토로했다.

사이버레커로부터 협박·공갈 피해를 본 쯔양은 이날 국감에서 김장겸 국민의힘 의원이 소송 과정에 관해 묻자, 피해 당시 유튜브 등으로부터 신속한 도움을 받지 못했던 상황에 대해 증언했다.

쯔양은 "피해 당시 아무것도 할 수 없을 만큼 굉장히 두렵고 아주 막막한 상황이었다"면서 "저는 너무나 감사하게도 많은 분이 사건에 관심을 가져주셨고, 도와주는 분들이 많았다. 하지만 일반 시민분들께서는 생업을 하시면서 (소송) 비용을 마련하기도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같은 당 최형두 의원이 "구글(유튜브)이 이 문제에 대해서는 신속하게 대응했는지" 묻자, 쯔양은 "사실 쉽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영상 확산 속도는 굉장히 빠르고 하루 만에 수십만명이 보는데 지워지는 절차가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오해를 풀기가 굉장히 어려웠다"고 대답했다.

쯔양은 자신이 신고한 영상 삭제에 걸린 기간에 대해 "짧게는 일주일에서 길게는 아예 지워지지 않았던 영상들도 있다"고 덧붙였다.

쯔양은 또 "이 자리에 제가 나가도 되는지 너무 걱정되고 무서웠다"면서 "중요한 자리에 초대해 주셨고, 책임감도 느끼게 돼 악플 경험이 많은 사람으로서 나서게 됐다"고 말했다.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에 따르면 사이버레커 문제 대응과 관련, 국회에 이용자 제재 절차나 기준을 약관에 마련하는 사업자의 자율적 규제 책임을 강화하기 위한 정보통신망법 개정안이 발의돼 있다.

이와 관련 이주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입법 방향에 관한 의견을 묻자, 쯔양은 "구체적으로 답변하기는 어렵지만, 저와 같은 피해자가 나오지 않기를 바라며 이 자리에 나왔다. 위원님들과 전문가분들께서 꼭 사회에 필요한 제도를 만들어주시길 바란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