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국정자원 화재"부속전원 차단 안해" 진술 확보…1명 추가 입건

입력 2025-10-10 16:34:44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29일 오전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현장에서 경찰 관계자들이 불이 붙었던 무정전·전원 장치(UPS)용 리튬이온배터리를 옮기고 있다. 앞서 지난 26일 정부 전산시스템이 있는 국정자원에서 리튬이온배터리 화재가 발생해 정부 전산 서비스가 대규모로 마비된 바 있다. 연합뉴스
29일 오전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현장에서 경찰 관계자들이 불이 붙었던 무정전·전원 장치(UPS)용 리튬이온배터리를 옮기고 있다. 앞서 지난 26일 정부 전산시스템이 있는 국정자원에서 리튬이온배터리 화재가 발생해 정부 전산 서비스가 대규모로 마비된 바 있다. 연합뉴스

대규모 국가 전산망 마비를 부른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원인을 수사 중인 경찰이 최초 발화한 것으로 추정되는 리튬이온 배터리 전력 차단이 불완전했다는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파악됐다.

화재는 무정전 전원장치(UPS)에 쓰이는 배터리 교체를 위한 이전 작업 중 발생했는데, 당시 UPS 주전원은 작업 약 1시간 전 차단했으나 배터리랙(모듈 묶음)과 연결된 전원은 차단하지 않았다는 작업 관계자 진술을 경찰이 확보해 조사 중이다.

대전경찰청 수사전담팀은 10일 이러한 진술을 바탕으로 전력 차단 여부 등을 감점 등을 통해 살피고 있다고 밝혔다. UPS 장치는 외부전원과 함께 정전 등을 대비해 서버와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는 바이패스 방식이다.

경찰에 따르면 당시 작업은 외부 및 UPS 주전원을 차단한 상태로 이뤄졌는데, 배터리랙과의 전력 연결은 차단되지 않았던 것으로 경찰은 보고 있다. 경찰은 당시 UPS와 연결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80% 수준이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즉 UPS 전원을 내렸더라도 충전된 배터리를 연결한 채 작업하다 불이 났을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경찰은 지난 2일 국정자원과 배터리 이전 작업 담당 업체 등 4개소를 압수수색, 추석 연휴 간 수사를 계속해 총 26명을 조사하고 작업 업체 관계자 1명을 업무상실화 혐의로 추가 입건했다.

이로써 국정자원 직원과 주 사업체 일성계전 작업자 등 총 5명이 경찰 수사 대상이 됐다.

압수수색물을 분석 중인 경찰은 현장에서 회수한 최초 발화 추정 배터리 분해 검사 및 동일 기종에 대한 재현 실험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경찰은 리튬이온 배터리 관련 전문가들을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하기도 했다. 화재 배터리 제조사인 LG에너지솔루션과 UPS 제조사 전문가들도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할 방침이다.

한편, 이재명 대통령은 10일 휴가 중에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현장을 찾아 피해 복구 상황을 점검했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대전 유성구의 국정자원을 방문해 정부 정보시스템 복구 현황을 살피고 추석 연휴 기간에도 복구 작업에 투입된 직원들에게 감사와 격려를 전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공식적으로 연차를 사용했지만 사안의 중요성을 감안해 휴가 중에도 국정자원 화재 현장을 찾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 대통령의 국정자원 화재 현장 방문은 지난달 26일 화재 발생 이후 14일 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