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심장정지 환자 생존률, 경북 낮고 대구 높아

입력 2025-10-06 16:30:00 수정 2025-10-06 18:43:28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박희승 더불어민주당 의원 자료…도시지역 생존률 높고 농촌지역 낮아

지난해 5월 대구도시철도2호선 대공원역에서 열린
지난해 5월 대구도시철도2호선 대공원역에서 열린 '재난 대응 안전한국훈련'에서 역사 내 화재 상황을 가정한 대피 및 심폐소생술 훈련이 진행되고 있다. 안성완 기자 asw0727@imaeil.com

급성심장정지 환자가 늘어나는 추세인 가운데 생존률을 따져본 결과 경북은 낮게 나왔고 대구는 높은 편으로 나와 지역간 격차가 큰 것으로 드러났다.

6일 박희승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질병관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급성심장정지 환자수는 지난 2015년 3만771건에서 2023년 3만3천586건으로 9.1% 증가했다. 생존률은 2015년 6.3%에서 2024년 상반기 기준 9.2%로 다소 높아지긴 했으나 여전히 10명 중 9명은 사망에 이르는 수준이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농촌지역이 도시지역보다 생존률이 낮았다. 지난해 상반기를 기준으로 생존률이 가장 높은 곳은 서울로 12.4%였으며 가장 낮은 지역은 5.4%의 전남이었다. 대구경북지역 또한 도시인 대구는 10.4%의 생존률을 보였지만 경북은 5.9%로 전국에서 전남 다음으로 낮았다.

이같은 차이는 비수도권과 농촌지역이 수도권과 도시지역에 비해 고령인구 비율이 높다는 점과 심폐소생술 시행률 때문이라는 게 박 의원의 분석이다. 지난해 상반기를 기준으로 서울, 세종 등 특별시 지역의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48.2%였지만 광역시는 26%, 군 지역은 19.9%로 큰 차이를 보였다.

지난해 상반기 기준 심폐소생술을 시행했을 경우 생존률은 14.3%로 하지 않았을 때의 6.4%보디 2.2배 높게 나왔다.

박 의원은 "급성심정정지 환자의 생존율 개선을 위해선 생존사슬의 각 고리가 효과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며 "고령층이 많고 병원 접근성이 낮은 지방을 중심으로 교육과 홍보를 집중적으로 강화해 심폐소생술 시행률을 높이고, 저체온 치료 등에 대한 연구도 보다 적극적으로 동반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