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 여파…수입품 물가 줄줄이 상승

입력 2025-10-06 10:50:00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미 노동부 통계, 오디오 14%·의류 8%↑

1일 경기도 평택항에 수출용 자동차가 세워져 있는 모습. 연합뉴스
1일 경기도 평택항에 수출용 자동차가 세워져 있는 모습. 연합뉴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5일(현지시간)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인상 여파가 미국 물가에 나타나고 있다고 보도했다. 회사들이 보유 재고를 소진하고 관세로 인한 원가 상승분을 소비자에게 전가하기 시작했다는 분석이다.

미국 노동부 산하 노동통계국에 따르면 올해 8월까지 6개월간 오디오 기기 가격은 14%, 의류는 8%, 공구·하드웨어·부품 가격은 5% 상승했다. 해당 품목 대부분이 수입품이다.

미국 전국소매협회(NRF)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마크 매슈스는 "최근 2년간 재화 인플레이션은 거의 제로 수준이었으나, 지금은 상승 조짐이 보인다"고 설명했다. FT는 8월 물가상승률이 2.9%에 그쳤지만, 수입 재화가 전체 소비의 10% 이상을 차지해 향후 인상 압력이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시장조사기관 텔시 어드바이저리 그룹에 따르면 4월 이후 주요 소매업체들은 티셔츠·신발 등 '소프트 라인' 상품 29종 중 11종, 자전거·식기세척기 등 '하드 라인' 상품 18종 중 12종, 스포츠용품 16종 중 5종의 가격을 인상했다.

가구업체 애슐리 퍼니처는 이날부터 절반 이상의 제품 가격을 3.5~12% 인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천이나 가죽을 덧댄 가구에 25%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힌 바 있다. 자동차부품 소매업체 오토존도 관세 인상에 따른 가격 상승을 경고했다.

또 브라질산 커피에는 50%의 수입관세가 적용됐고, 강철 관세 인상으로 통조림 가격도 오르고 있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은 "지금까지는 수입업자와 소매업체가 부담 대부분을 져 왔으나 앞으로는 소비자 부담이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

씨티그룹의 네이선 시츠 글로벌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현재 소비자 부담 비율이 30~40% 수준에서 앞으로 60%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