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정부의 중국 단체관광객 무비자 입국에 대해 중국 관영매체가 반중 시위 규제 등의 안전보장 조처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관영 환구시보는 29일(현지시간) 사설을 통해 한국 정부가 중국 국경절 연휴를 앞두고 이날 중국인 단체관광객에 대해 한시적으로 무비자 정책 시행에 들어간 데 대해 "한·중 간 무비자의 의의는 경제적 측면에 그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환구시보는 지난해부터 한국경제 성장이 약해진 상황에서 관광업 회복에 대한 한국 내 기대가 크다면서, 지난 상반기 한국 내 외국인 관광객 가운데 중국인 비중이 28.6%로 가장 많았다고 언급했다.
지난해 10월 방한한 중국인 관광객은 39만 2천명으로, 코로나19 유행 이전인 2019년 10월과 비교해 69%에 그쳤다. 그러나 지난 7월 중국인 관광객은 60만 2천명으로 코로나19 이전 수준 회복세를 보인 만큼 향후 관광객 수도 큰 폭으로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매체는 한국의 이번 무비자 정책이 민간 교류 촉진과 정치적 신뢰 증진을 위한 의미있는 행동으로 평가했다. 그러면서 "주요 선진국 가운데 처음이며, 상징성 있는 시범사례라는 의의가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지난해 11월부터 시행 중인 중국의 대한국 무비자 정책으로 많은 한국인이 중국의 발전상을 보고 중국에 대한 낡은 관념을 바꿨다고 말했다.
환구시보는 한·중 양국이 상호 무비자 정책을 실시하는 데 대해 "단지 하나의 경제정책일 뿐만 아니라, 우호와 협력을 촉진하고 지역 일체화를 추진하는 전략적 조치"라고 강조했다.
이어 "비자 편리화는 첫걸음일 뿐이며 (무비자) 시범 시행을 어떻게 일상화할지가 미래의 관건"이라며 한국 내 반중 시위 문제를 언급하며 한국 측이 서비스 질을 높이고 중국 관광객의 안전을 보호하는 등 조치를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환구시보는 "우려스러운 점은 최근 한국의 일부 극우 단체들이 서울 명동 등에서 반중 시위를 자주 벌이며 특정 정치인들이 반중 음모론을 선동하고 있다는 점"이라며 "이러한 행위는 중·한 관계 기류를 심각하게 훼손하고 한국의 이미지를 훼손하는 악영향을 가져왔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재명 정부는 이러한 일을 막기 위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며 "한국 측이 중국 관광객을 위해 확실히 안전을 보장하고 한중관계 개선을 위해 좋은 사회 분위기를 만들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