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적 파트너' 美에 50% 관세 폭탄 맞아
中과 국경분쟁·제조업 유치경쟁 등 숙적
인도의 비동맹 외교가 다시금 전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후 인도의 친미 정책이 장벽에 가로막히면서, 전통적인 비동맹 외교 노선으로 회귀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냉전 시기 정립된 인도의 비동맹 노선은 미국이나 구 소련 어느 진영에도 공식적으로 참여하지 않은 채 독자적인 길을 걷겠다는 외교 전략으로, 오늘날까지도 인도 외교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핵심 개념이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전통적인 비동맹 노선에서 탈피해 국익 우선과 실용주의를 바탕으로 최근 몇 년간 미국을 전략적 파트너로 보고 접근해왔다. 여기에는 아시아 역내에서 적대 관계인 중국의 부상을 견제하기 위한 의도도 있었다.
하지만 지난달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에 최대 50%의 상호관세를 부과하며 이런 관계에 찬물을 끼얹었다. 트럼프 행정부가 발표한 인도의 관세율은 처음에는 25%였으나, 인도가 러시아산 석유 수입을 계속한다는 이유로 추가로 25% 더 올려버렸다.
이런 높은 관세 장벽에 충격을 받은 인도 정부는 미국 외에 러시아·중국과의 관계 개선을 모색하면서 다시금 외교정책의 방향을 전환하는 기류다. 미국의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5일(현지시간) "미국-인도 관계가 악화하면서 많은 인도 관리들은 쉽지 않은 비동맹 균형 외교의 길을 모색하고 있다"고 전했다.
모디 총리는 특히 9월 들어서는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와 중국의 80주년 전승절 기념식 참석을 위해 중국을 방문해 시진핑 주석과 정상회담을 하고,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도 회동하는 등 중·러에 밀착하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
NYT는 이에 대해 "모디 총리가 한때 진정한 친구로 여겼던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압박에 실망해 이달 러시아와 중국 정상들과 손을 맞잡은 것이 (미국에) 분명한 메시지를 보내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도가 중국에 밀착하는 것에도 정치적·경제적 뿐 아니라 영토 문제로도 한계가 있다. 인도의 권력 핵심부에서도 대미 관계가 흔들린다고 해서 중국과 밀착하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