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승절' 중국서 양자회담 '혈맹' 과시
푸틴 "北장병들 영웅적으로 싸웠다"
김정은 "러 돕기 위해 무엇이든 할것"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중국 전승절 80주년 기념 열병식에 참석해 왕성한 다자외교를 펼치고 있다. 다자외교 데뷔전이지만 '고립된 왕따' 이미지를 탈피하고 중국, 러시아 정상들과 양자 회담을 했다. 안보는 러시아, 경제는 중국과 한다는 '안러경중' 행보를 보일지도 관심이 쏠린다.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3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중국 현지에서 회담을 했다. 두 정상은 '혈맹'을 강조했다.
러시아 타스 통신 등에 따르면 김 위원장과 푸틴 대통령은 이날 중국 베이징에서 전승절 80주년 연회를 마친 뒤 양자회담을 하며 러시아의 쿠르스크 탈환 작전에 대한 북한군 참여를 언급했다.
푸틴 대통령은 김 위원장에게 "러시아는 현대 신(新)나치즘에 맞선 싸움에서 북한의 역할을 절대로 잊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잘 알려졌다시피 당신의 지도하에 북한 특수부대가 우리의 새 협정(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북러조약)에 완전히 부합하게 쿠르스크 해방에 참여했다"며 "당신의 장병들은 용감하고 영웅적으로 싸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는 당신의 군과 군 가족들이 겪은 희생을 절대로 잊지 않을 것"이라며 "러시아인을 대신해 여러분의 공동 전투 참여에 감사하고 싶다. 따뜻한 감사의 말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모든 사람에게 전해달라"고 부탁했다.
이에 김 위원장은 "우리는 협정(북러조약)의 틀 안에서, 이 협정에 의무로 러시아 국민·군대와 함께 싸웠다"며 "이 자리를 포함해 우리 군인들의 업적을 거듭 치하해 특히 감사하다"고 화답했다.
김 위원장은 "우리가 러시아를 도울 수 있는 것이 있다면 반드시 그렇게 할 것"이라며 "우리는 이를 형제의 의무라고 생각할 것이다. 러시아를 돕기 위해 무엇이든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푸틴 대통령은 2022년 시작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특별군사작전'과 지난해 6월 체결한 북러조약, 북한의 쿠르스크 파병 등으로 밀착한 북러관계에 대해 "최근 신뢰와 우호, 동맹적 성격을 띠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당신을 만나게 돼 매우 기쁘고, 양국 관계의 모든 면과 모든 방향에 대해 대화할 기회를 가져 기쁘다"고 말했다.
푸틴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정상회담은 2019년 4월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2023년 9월 러시아 보스토치니 우주기지, 2024년 6월 북한 평양에서 열린 데 이어 이번이 네 번째다. 이날 회담은 약 1시간 30분간 진행됐으며 푸틴 대통령은 김정은 위원장의 러시아 방문을 요청했다.
북한이 그간 러시아와의 협력을 통해 군사력 현대화 등 안보 차원의 이익을 챙겼다면 앞으로는 중국을 통해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노선을 잡을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 실질적 경제 지원과 대규모 곡물 제공 등으로 북한 내부 문제를 해결해줄 수 있는 파트너로는 북한처럼 국제 제재를 겪는 러시아보다는 경제 대국 중국이 적절하다고 북한이 판단했을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