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창녕함안보·칠서 취수장 현장 점검
경상남도가 여름철 낙동강 녹조 확산에 맞서 도민 수돗물 안전 확보를 위한 총력 대응에 나섰다.
박완수 경남도지사는 29일 창녕함안보와 칠서 취수장을 차례로 방문해 녹조 확산 상황과 대응 현황을 직접 점검했다. 이번 점검에는 경남도 환경산림국장과 한국수자원공사, 창원시 관계자 등이 함께했다.
박 지사는 현장에서 "녹조 상황 속에서도 도민에게 깨끗하고 안전한 수돗물을 공급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며 "정수처리 공정을 철저히 관리해 여름철 수돗물로 인한 불편이 없도록 하고, 기후변화에 따른 수질 변화에도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첫 방문지인 창녕함안보는 유역면적 2만697㎢, 저수용량 1억900만㎥ 규모의 낙동강 핵심 수계 시설이다. 박 지사는 이곳에서 녹조 확산 현황과 보 운영 상황을 확인했다.
이어 하루 44만㎥의 원수를 낙동강에서 끌어들이는 칠서 취수장을 찾아 조류 유입 차단 실태를 직접 살펴봤다. 그는 조류차단막과 수면교란장치, 조류독소 모니터링 체계 등을 꼼꼼히 확인하며 "수돗물 안전 확보에 만전을 기해 달라"고 당부했다.
특히 박 지사는 "매년 되풀이되는 녹조로 인한 도민 불안을 줄이기 위해 낙동강유역환경청과 한국수자원공사가 신기술 개발에 앞장서 달라"고 주문했다.
현재 낙동강 유역에서는 8월 21일 물금매리, 8월 28일 칠서 지점에 조류경보 '경계' 단계가 발령된 상태다. 이에 따라 경남도는 수질오염원 특별점검, 정수처리 강화, 실시간 수질 모니터링 등을 통해 녹조 유입을 차단하는 한편, 녹조제거선 운영과 댐·보 연계 방류 등을 통해 확산 억제에도 나서고 있다.
환경부도 녹조 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위해 연말까지 '녹조 종합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특히 낙동강을 중심으로 4대강 재자연화를 포함한 종합 대응 기반을 새 정부 임기 내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조류경보 발령 체계 개편 등 제도 개선도 병행되고 있다.
경남도는 환경부 대책에 발맞춰 자체 대응 총괄 계획에 관련 내용을 신속히 반영하고, 보다 촘촘한 대응 체계를 구축해 나갈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앞으로도 관계기관과 긴밀히 협력해 조류 확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도민이 안심하고 마실 수 있는 수돗물 공급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이진숙 방통위원장 직권면직 검토
국힘 '이진숙 면직검토'에 "그 논리면 임은정은 파면"
"아빠, 왜 돈 준다는 아저씨 뽑았어요?"…이준석이 올린 동영상 화제
국민의힘 "728조 내년 예산, 포퓰리즘 가득한 빚더미"
李대통령 "재정 적극적 역할 필요…씨앗 빌려서라도 농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