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요구한 국방비 인상 공식화
현재 GDP 2.32% 수준…5% 맞추려면 2배 이상 ↑
국방 관련 '메가 프로젝트'인 군 공항 이전 사업 반영 기대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정상회담을 계기로 우리 정부가 트럼프 행정부의 주요 요구 사안인 국방비 인상 계획을 공식화했다. 미국 측 요구 수준에 맞추기 위해선 현재 수준의 2배 이상 증액이 필요한 만큼 대구경북(TK) 신공항 등 전국 군 공항 이전 사업이 국방비에 반영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진다.
이 대통령은 한미 정상회담 직후인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의 싱크탱크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에서 한 연설에서 "한국은 한반도 안보를 지키는 데 있어 보다 주도적인 역할을 앞으로 해 나갈 것"이라며 "국방비를 증액하겠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회담에서 국방비 증액 구상을 먼저 거론한 것으로 전해졌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이날 현지에서 열린 언론 브리핑에서 "(국방비 증액이) 우리가 보는 동맹 현대화의 방향"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변화하는 우리 주변 정세에 잘 대응할 수 있게 동맹을 현대화해 결과적으로 연합방위능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목표를 갖고 진행하고 있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증액된 국방비가 스마트 강군 육성 등에 사용될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국방비 증액의 구체적 목표는 이날 제시되지 않아 향후 인상 폭이 쟁점이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트럼프 2기 행정부는 출범 직후부터 '미국 우선주의' 기조 아래 자국 안보는 스스로 지켜야 한다면서 동맥국들에 국방비 인상을 압박했다. 새 국방비 지출 기준은 'GDP(국내총생산) 대비 5%'로 제시했다.
국방부에 따르면 올해 한국 국방 예산은 61조2천469억원으로 GDP의 2.32%다. '5%'를 맞추려면 국방비를 배로 증가시켜 약 132조원까지 늘려야 한다. 정부가 이 기준을 맞추려면 국방 관련 사회간접자본(SOC)과 연구개발(R&D) 등 간접비까지 모두 포함해야 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지역 정가에서는 정부가 군 공항 이전 및 민간공항 건설 등 총사업비 14조원을 넘어서는 TK 신공항 사업을 국방부 재정 사업으로 포함시킬 수 있지 않느냐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큰 관심을 두고 있는 광주 군 공항 이전 사업 등 국내 다른 군 공항 이전 사업들과 함께 국방비에 전격 포함될 수 있을지 TK 정치권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국민의힘 새 대표에 장동혁…"이재명 정권 끌어내리겠다"
'박정희 동상' 소송 본격화…시민단체 "대구시, 판결 전 자진 철거하라"
송언석 "'文 혼밥외교' 뛰어넘는 홀대…한미정상회담, 역대급 참사"
장동혁 "尹면회 약속 지킬 것"…"당 분열 몰고 가는분들엔 결단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