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 조선업, 한반도 평화 문제 등 폭넓은 의제 논의
예상보다 길어진 공개회담... 양국 관계와 관련없는 질의도 상당수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백악관 오벌오피스에서 마주 앉아 무역, 조선업에서부터 한반도 평화 문제와 한미일 협력까지 폭넓은 의제를 놓고 의견을 교환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환영 인사와 함께 한국의 조선업과 미국의 군사 장비를 강조했으며, 이재명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의 평화 중재 역할을 높이 평가하면서 한미 동맹의 확장을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이재명 대통령님, 오늘 백악관에 오신 것을 진심으로 환영한다"고 말하며 회담을 시작했다. 그는 한미 간 무역 확대와 한국의 조선업 발전을 언급하면서 "우리가 한국에서 선박을 구매해야 되겠지만, 앞으로 한국과의 협력을 통해서 미국에서 선박이 다시 건조되기를 바라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한국이 미국의 뛰어난 군사 장비를 많이 구매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방산 협력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재명 대통령의 당선 축하 인사도 덧붙였다. 그는 "다시 한 번 이재명 대통령을 백악관에 모시게 돼 영광이다. 선거에서 승리한 것도 축하드린다"고 말했다.
이에 이재명 대통령은 백악관 집무실 분위기를 언급하며 "밝고 황금색으로 빛나는 모습이 미국의 새로운 번영을 상징하는 것 같다"고 소감을 전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정책과 다우존스 지수 상승을 언급하면서 "미국이 다시 위대해지고 있다"고 평가하면서 "조선 분야뿐만이 아니라 제조업 분야에서 르네상스가 이루어지고 있고 대한민국도 함께 하게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한 이재명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을 '피스 메이커'로 평가하며 "전 세계에서 분쟁을 종식시키고 평화를 만들어가는 역할이 눈에 띈다"고 강조했다. 특히 한반도 문제와 관련해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분단 국가로 남아 있는 한반도에 평화를 좀 만들어 주셔서 김정은과도 만나시고 북한에 트럼프 월드도 하나 지어서 거기서 저도 골프도 칠 수 있게 해 주셔 달라"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대통령의 발언에 크게 웃음을 지으며 "김정은 위원장과 굉장히 좋은 관계를 가지고 있다. 두 번의 정상회담을 가졌고, 상당히 친해졌다"고 답했다. 또 "이재명 대통령께서 한국의 어느 지도자보다 북한에 좀 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 있는 대통령이라 생각한다"며 "어쩌면 우리가 함께 노력하면 진전이 있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이 대통령은 "저의 관여로 남북 관계가 잘 개선되기 쉽지 않은 상태인데, 실제 이 문제를 풀 수 있는 유일한 인물이 트럼프 대통령이다"며 "대통령께서 피스 메이커를 하시면 전 페이스메이커로 열심히 지원하겠다"고 했다.

회담에서는 한미일 협력도 논의됐다. 이재명 대통령은 "한미 관계 발전을 위해 한일 관계도 수습이 필요하다"며 "트럼프 대통령께서 한미일 협력을 매우 중시하고 계시기 때문에 제가 트럼프 대통령을 뵙기 전에 일본과 미리 만나서 (트럼프) 대통령께서 걱정할 문제를 미리 정리했다"고 했다. 그는 이시바 일본 총리와의 만남을 언급하며 "우리가 갖고 있던 많은 장애요소가 제거가 됐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평가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올해 10월말 한국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참석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난 무역 회의(trade meeting)를 위해 곧 한국에 가는 것 같다. 한국이 무역 회의를 주재한다"고 말했다. APEC이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들이 다자 경제 협력을 논의하는 자리라는 점을 고려하면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무역 회의가 APEC 정상회의일 가능성이 커 보인다.
한편, 이재명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이 회담 전 특검의 교회, 미군기지 수사를 언급한 것에 대해 "쿠데타로 인한 혼란을 극복한 지 얼마 안 된 상태이며, 현재 국회가 주도하는 특검에서 조사가 진행 중"이라고 했다. 그는 "검찰은 팩트 확인을 하고 있으며, 미군을 직접 조사한 것이 아니라 한국군 통제 시스템이 어떻게 작동했는지를 확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30분 정도로 예상됐던 공개 회담은 50분 넘게 이어졌다. 각 정상의 모두발언이 20분, 기자들의 질의 응답이 30분 가량 진행됐다.
기자들의 질의응답에서 워싱턴 내 주방위군 배치나 미국의 불법 이민 문제, 가자지구 전쟁 등 한미 관계 이외의 미국 현안에 대한 질문과 답변이 여럿 나왔다. 첫 질문은 한미 양국간의 문제가 아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관련 내용이었다.
댓글 많은 뉴스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조국 또 '2030 극우화' 주장…"남성 일부 불만있어"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진짜 사장 나와라" 노란봉투법 통과에 하청노조 요구 빗발쳐
'박정희 동상' 소송 본격화…시민단체 "대구시, 판결 전 자진 철거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