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상의 '개정 상법에 대한 지역 상장사 영향 및 애로 조사' 조사 결과
대구지역 상장사 10곳 중 8곳은 상법 개정으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대구상공회의소가 발표한 '개정 상법에 대한 지역 상장사 영향 및 애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기업의 82.8%는 이번 상법 개정이 기업 경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반면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은 5.7%에 불과했다. 영향 없을 것이라는 응답은 11.4%로 집계됐다.
세부적으로 '이사 충실의무 대상 확대'(54.3%)가 기업 지배구조 및 경영 활동에 가장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하는 기업이 많았다. 이어 '감사위원 선임·해임 시 최대주주 의결권 제한 강화(3%룰)'(42.9%), '독립이사 제도 도입 및 비율 확대'(2.9%) 등이 뒤를 이었다.
상법 개정으로 기업 경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리스크의 경우 '법률 분쟁 또는 소송 부담'(48.6%), '행동주의 펀드 및 외부 세력의 영향력 확대'(40.0%), '이사회 구성 및 운영 부담 증가'(37.1%), '경영 판단 위축 및 의사결정 지연'(25.7%) 순으로 조사됐다.
지역 산업계 한 관계자는 "이번 상법 개정으로 사외이사(독립이사) 비율이 기존 4분의 1에서 3분의 1로 확대됨에 따라 사외이사를 추가 선임해야 된다. 이에 따라 주주총회, 등기, 공시 등 행정 절차와 인건비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또 다른 상장사 관계자는 "의결권 확보가 매우 어려워졌다. 행동주의 펀드나 외부 세력 등의 규합으로 감사위원이 선출될 경우 경영의 안정성이 흔들릴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상법 개정에 대한 대응책으로 기업들은 '이사회 구성 및 운영체계 전반의 재정비'(48.6%)를 추진하는 한편, '전자주주총회 시스템 도입 및 관련 IT·인프라 구축'(17.1%)과 '이사회 및 감사위원회 관련 내부 규정·지침 개정'(17.1%)을 검토하고 있다.
필요한 지원 사항(복수응답)으로는 '법률 해설 자료 및 사례 중심의 가이드북 제공'과 '이사회·주주총회 운영 관련 실무 교육 및 설명회'가 각각 51.4%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또 '전자주주총회 시스템 도입에 대한 기술 지원 및 비용 보조'(40.0%), '기업 규모별 지배구조 개선 컨설팅'(25.7%)을 희망하는 기업도 상당수였다.
특히 지역기업들은 향후 기업지배구조 관련 제도 개선 시 '경영 안정성'(77.1%)과 '기업 자율성 보장'(77.1%)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상길 대구상의 상근부회장은 "기업 지원에 적극 나서는 한편, 향후 진행되는 제도 개선 과정에 기업 현장의 목소리가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관계기관에 적극 건의하겠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김여정 "리재명, 역사의 흐름 바꿀 위인 아냐" 발언에…대통령실 "진정성 왜곡 유감"
김건희 "내가 죽어야 남편 살길 열리지 않을까"
"사과한다고 2030 마음 열겠냐"는 조국에 "이래서 사면 안돼" 우재준 비판
한미 정상회담 국방비 증액 효과, 'TK신공항' 국가 재정 사업되나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