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알루미늄 관세 대상 407개 품목 추가 지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철강과 반도체를 비롯한 핵심 산업 품목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 방침을 공개적으로 언급하면서 국제 교역에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15일(현지시간) 러시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위해 알래스카로 향하는 대통령 전용기 에어포스원에서 기자들과 만나 "반도체 관세는 다음 주 중 어느 시점에 결정될 것"이라며 "나는 아직 설정하지 않았지만 조만간 조치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철강과 반도체에 대해 내주와 그다음 주에 관세를 설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철강은 이미 50%의 품목 관세가 부과되고 있는 품목이다. 다만 이날 미 상무부는 관보 공지를 통해 철강·알루미늄 관련 제품 코드 407개를 새로 관세 대상에 포함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철강과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다양한 파생 제품들이 추가로 관세 부과 대상이 됐다. 이번 조치는 18일부터 발효된다.
철강과 반도체 관세는 특정 국가와의 상호관세가 아닌 품목별 관세로,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한다. 이 조항은 특정 품목의 수입이 국가안보를 위협한다고 판단될 경우 대통령이 관세 등 제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상무부는 이미 반도체가 국가안보에 미칠 영향을 조사 중이다. 앞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도 지난달 27일 "2주 후 반도체 관세가 발표될 것"이라고 예고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 관세율과 관련해 "처음에는 (미국 내 공장 건설을 유도하기 위해) 낮게 설정되겠지만 일정 기간 이후 매우 높아질 것"이라며 "미국 내에 공장을 짓지 않는다면 높은 관세를 내야 한다"고 경고했다. 그는 "자동차, 인공지능(AI) 공장 등 수백개의 공장이 관세를 피하려고 미국으로 들어오고 있다"고 주장하며 자신의 관세 정책이 제조업 회귀를 이끌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과의 회담을 앞두고 "푸틴은 과거 바이든 행정부 경제에는 관심이 없었지만, 트럼프 경제에는 관심이 있다"며 "러시아 측이 많은 경제 참모들을 대동한 것도 협력을 염두에 둔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회담에서 진전을 이룬다면 경제 문제도 논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다큐3일 10년 전 '안동역 약속' 지키려 모였는데… 갑작스러운 폭발물 신고에 긴장
李대통령 "난 충직한 일꾼…오직 국민만 믿고 직진"
"함께 보실 분"…李대통령, 내일 영화 '독립군' 국민 동반 관람
'사면' 윤미향 "할머니들 잊지 않겠다, 위안부 문제 원칙 세우고 길이 되어줘"
'전교조 출신 첫 교육부 장관, 민변 출신 여가부 장관'…청문회 순탄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