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국가 AI 컴퓨팅 센터 유치 '변수'…2조5천억 사업 향방 주목

입력 2025-08-17 16:48:03 수정 2025-08-17 20:52:49

정권 교체 후 주도권 흔들려…지역 경제계 "전략 마련해 경쟁력 높여야"

수성알파시티 전경. 수성구청 제공
수성알파시티 전경. 수성구청 제공

정부가 2조5천억원 규모의 국가 인공지능(AI) 컴퓨팅 센터 구축 사업을 재정비하는 가운데, 유력 후보지로 꼽혀온 대구가 정권 교체 이후 주도권을 잃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역 경제계는 대구만의 전략을 마련해 입지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한다.

17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ICT)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국가 AI 컴퓨팅 센터 구축 사업 공모 요건 조정안을 마련하고 있다. 앞서 지난 5월과 6월 두 차례 진행한 공모에서 지원한 사업자가 단 한 곳도 없었기 때문이다.

국가 AI 컴퓨팅 센터는 민관 합작으로 첨단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집적한 AI 데이터센터를 짓는 사업이다. 지원 규모는 2조5천억원으로 2027년까지 비수도권에 대규모 고성능 AI 전용 데이터센터를 설립하는 것이 목표다.

기존 공모안은 정부가 51%를 가지는 지분 구조가 리스크가 크고 사업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에 따라 업계의 외면을 받아왔다. 사업 구조가 비현실적이라는 지적이 일자 정부는 민간의 자율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사업 내용을 수정하고 있다.

유치에 공을 들여온 대구는 정권 교체 이후 주도권을 잃고 있는 양상이다. 대구시는 사업 주체가 지자체가 아닌 기업이라는 점에서 기업 유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현재 대구를 택하겠다는 기업은 많지 않은 상황"이라며 "쉽지 않은 상황이지만 유치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또 다른 리스크로는 정부가 특정 지역을 우선 후보지로 지정할 가능성이 거론된다. 대구시 관계자는 "공모 결과를 봐야 하겠지만, 정부가 설계 단계에서 특정 지역으로 방향을 정하면 대구 입지 경쟁력은 떨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지역 경제계는 대구시만의 전략적 대응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최종태 대경ICT산업협회장은 "대구는 로봇, 헬스케어, 스마트팩토리 등 이미 강점을 가진 분야가 많다"며 "이럴 때일수록 대구시와 유관기관, 정치권이 함께 존재감을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여야를 막론하고 지역 국회의원과 경제계가 발 빠르게 움직여야 하며, 중앙정부와의 연결고리를 적극적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