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구체 생산 외에 LFP양극재까지 협력범위 확대하는 업무협약 체결
포스코퓨처엠이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용 LFP(리튬·인산·철) 양극재 생산 시스템 구축에 본격 돌입했다.
11일 포스코퓨처엠에 따르면 지난 8일 서울 포스코센터에서 중국 전구체 기업 CNGR과 LFP 양극재 사업 추진을 위한 MOU(업무협약)를 체결했다.
이번 MOU에는 CNGR의 한국 자회사 피노(FINO)도 참여하며, 세 회사는 협약에 따라 ESS용 LFP 양극재 생산시설 구축, 공동 마케팅 등의 방안을 협력할 예정이다.
앞서 포스코퓨처엠은 지난 2023년 CNGR과 전구체 생산에 협력하는 합작투자계약(JVA)을 체결하고, 이듬해 씨앤피신소재테크놀로지(CNGR 51%·피노 29%·포스코퓨처엠 20%)를 설립한 바 있다.
이번 MOU는 씨앤피신소재테크놀로지에서 전구체 생산 외에 LFP 양극재까지 협력범위를 확대하겠다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LFP배터리는 NCM(니켈·코발트·망간) 등 삼원계 배터리에 비해 출력은 낮지만 저렴한 가격과 긴 수명이 장점이어서 ESS, 엔트리급 전기차 등에서 자주 쓰이고 있다.
특히 ESS는 전기차 대비 공간·출력 요건이 까다롭지 않고 긴 수명이 필요해 최근 LFP 배터리에 대한 선호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
포스코퓨처엠 관계자는 "이번 협약이 전기차 시장에서 회사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계기로 작용하길 바란다"면서 "앞으로 다양한 양·음극재 제품 포트폴리오와 제조 역량 강화, 포스코그룹 차원의 공급망 경쟁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완성차·배터리사 고객을 지속 확대하는데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했다.
한편 포스코퓨처엠은 프리미엄급 전기차용 하이니켈 NCMA(니켈·코발트·망간·알루미늄)·NCA(니켈·코발트·알루미늄), 엔트리 및 스탠다드급 전기차용 LMR(리튬·망간 리치) 등 양극재 제품 포트폴리오 다각화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조국·정경심·윤미향·최강욱 등 광복절 특별사면 [영상]
대통령 '특정인 면죄부' 견제 없는 사면권…무소불위 권력 지적
'시진핑·中대사 얼굴' 현수막 찢었다가…尹 지지단체 입건
李대통령, 지지율 하락에도 조국·윤미향·최강욱 사면 강행
'조국·윤미향' 영향?…李대통령 지지율 56.5%로 최저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