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식료품·비주류음료 물가 작년 대비 3.5% 상승
어류 및 수산 7.2% 상승, 2023년 7월 이후 최고 수준
폭염·폭우 등의 영향으로 먹거리 물가가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생활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먹거리·교통 등 부문을 중심으로 물가가 오르면서 서민 부담도 커지고 있다.
1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물가지수는 125.75(2020년=100)으로 작년 동월보다 3.5% 상승했다.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2.1%)을 훌쩍 웃도는 수치로 지난해 7월(3.6%) 이후 1년 만에 가장 높다.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말부터 올해 5월까지 2.0~3.0%를 유지해오다가 최근 두달 연속 3%대 중반을 나타내고 있다. 폭염·폭우 등 이상기온 현상이 지속되고, 가공식품 출고가도 줄줄이 인상된 여파로 풀이된다.
식료품 중에선 어류 및 수산(7.2%)의 물가 상승 폭이 가장 컸다. 2023년 7월(7.5%) 이후 2년 만에 최고 수준이다. 오징어채(42.9%), 조기(13.4%), 고등어(12.6%) 등의 가격 수준이 껑충 뛰어 두 자릿수 상승률을 보였다.
빵 및 곡물(6.6%)도 2023년 9월(6.9%) 이후 1년 10개월 만에 가장 크게 올랐다. 쌀(7.6%)은 2024년 3월(7.7%) 이후 1년 4개월 만에 다시 7%대 상승률을 기록했고, 라면(6.5%)은 3개월 연속 6%대 상승률을 이어갔다. 비주류 음료에서는 커피·차 및 코코아(13.5%), 생수·청량음료·과일주스 및 채소주스(3.4%) 가격이 큰 오름세를 보였다.
대중교통 요금을 포함한 공공서비스 물가도 뛰었다. 공공서비스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2월까지 '1% 이하'로 안정적 흐름을 보이다 3월 1.4%로 올라섰고, 이후 1%대 상승률을 유지하고 있다. 정부가 하반기 전기·가스·철도 등 인상 여부를 검토할 경우 가계 부담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댓글 많은 뉴스
김건희 여사, 독방서 식사 거부중…수용번호는 4398
구미시, 실시간 감시·경보 시스템 구축으로 저수지 재난 대응력 강화
경북 영천시 지적정보과 '찾아가는' 민원 현장처리제 주민 호응
구미시, 추경 15억 투입해 창업허브 조성·물류비 지원
영주시 평은면사무소 '꼬마 예쁜 쓰레기 정거장' 추가 설치, 좋은 호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