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 Car, 여름철 장거리 운전자 위한 '빗길·폭염 대비' 안전운전 가이드 제시
장마와 폭염이 번갈아 몰아치는 여름, 특히 휴가철 장거리 운행이 많은 시기에는 차량과 운전자 모두 각별한 대비가 필요하다. 국내 최대 직영중고차 플랫폼 기업 K Car(케이카)는 여름철 안전한 차량 운행을 위한 점검사항과 주의사항을 정리해 운전자들에게 안전운전 수칙을 당부했다.
◆빗길 사고 대비, 폭염 속 차량 점검
기상청 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간 7월과 8월의 평균 강수일 수는 각각 15.8일, 13.8일에 달하며, 한국도로교통공단은 같은 기간 빗길 교통사고가 각각 2천여 건을 넘었다고 밝혔다. 이는 평상시보다 더 높은 수치로, 빗길 주행 시 사고 위험이 크게 증가함을 보여준다.
케이카는 폭우 속에서는 제동거리가 평소보다 1.8배 길어지는 만큼 제한속도보다 20% 이상 감속하고 안전거리를 두 배 이상 확보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특히 타이어 마모가 심할 경우 수막현상으로 인한 사고 위험이 커지므로 사전에 교체 여부를 점검해야 한다.
또한 시야 확보를 위한 워셔액과 와이퍼 작동 여부, 전조등·후미등 등 등화장치 점등 상태 확인도 중요하며, 폭우로 가시거리가 100m 이하일 경우에는 최대 50% 감속 운행이 권장된다. 지하차도 및 저지대는 침수 위험이 높은 만큼 아예 진입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타이어의 공기압이 상승해 접지력이 떨어질 수 있다. 제조사가 권장하는 적정 공기압을 유지하고, 여름용 타이어 장착 여부와 마모 상태를 점검해 폭염 속 안전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에어컨 필터는 6개월 또는 1만km 주행 시마다 교체가 권장된다. 필터가 오염될 경우 악취는 물론 호흡기 건강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여름철에는 실내에 라이터나 부탄가스 등 화기를 방치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차량 배터리는 실내주차와 주기적 시동으로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충분한 수면과 약물 복용 정보 확인 필요
장시간 운전 시 졸음운전 위험도 크게 증가한다. 경찰청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졸음운전 사고는 총 5천688건 발생했으며, 100건당 사망자는 2.7명으로 전체 교통사고의 평균치인 1.4명보다 약 2배 높은 수준이다.
졸음은 수면 부족뿐 아니라 감기약, 멀미약, 혈압약 등 졸음을 유발하는 약물로도 발생할 수 있다. 운전 전 복용 약물이 졸음 유발 가능성이 있는지 의사와 상담하거나 식약처 산하 '의약품안전나라' 사이트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좋다.
이외에도 주기적 환기, 껌 씹기, 동승자와 교대 운전, 졸음쉼터 이용 등 간단한 실천이 졸음운전 방지에 도움이 된다. 최근 차량에 탑재된 운전자 경고 시스템(DSW), 차선유지 시스템(LKAS), 차간거리 유지 시스템(SCC) 등 첨단 안전 옵션을 활용하는 것도 적극 권장된다.
케이카 관계자는 "휴가철이지만 날씨가 예측 불가능한 만큼 출발 전 차량 상태를 면밀히 점검하고, 운전자도 충분한 컨디션을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사고 없는 즐거운 여름을 보내기 위한 기본은 철저한 대비"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