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재·중간재 중심으로 하락폭 확대… 석탄·석유 제품 부진
국제유가와 환율이 동반 하락하면서 지난달 수입 물가가 1년 6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석유류와 원재료 가격이 크게 낮아지면서 전반적인 물가 지표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은행이 17일 발표한 '2024년 5월 수출입물가지수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수입물가지수(잠정치·2020년=100)는 134.63으로, 전달(139.82)보다 3.7% 하락했다. 이는 2023년 11월(-4.3%) 이후 가장 큰 하락 폭이다. 이로써 수입물가는 2월(-1.0%)부터 3월(-0.4%), 4월(-2.3%)에 이어 넉 달 연속 내림세를 이어갔다.
품목별로는 원재료 지수가 전달보다 5.5% 하락하며 전체 지수 하락을 주도했다. 중간재는 3.2%, 자본재와 소비재는 각각 2.7%, 2.3%씩 떨어졌다. 세부적으로는 광산품이 5.6%, 석탄·석유제품이 4.2% 하락했다. 원유는 전월보다 9.2% 내려 가장 큰 낙폭을 보였으며, 무연탄(-7.8%), 커피(-6.1%), 수산화알루미늄(-4.9%), 액정표시장치용 부품(-4.4%), 나프타(-4.2%) 등도 눈에 띄는 하락세를 보였다.
한국은행은 이번 수입물가 하락의 원인으로 환율과 국제유가 동반 하락을 지목했다. 5월 원/달러 평균 환율은 1,394.49원으로, 4월(1,444.31원)보다 3.4% 낮아졌다. 같은 기간 두바이유 평균 가격도 배럴당 67.74달러에서 63.73달러로 5.9% 하락했다.
수출물가지수도 하락세를 나타냈다. 5월 기준 수출물가지수는 128.56으로 전월(133.05)보다 3.4% 떨어졌다. 4월(-1.5%)에 이어 두 달 연속 하락한 가운데, 하락 폭은 2023년 11월(-3.4%) 이후 가장 컸다.
품목별로는 농림수산품이 0.8% 하락했으며, 공산품은 화학제품(-3.8%), 석탄·석유제품(-4.1%) 등을 중심으로 전체적으로 3.4% 떨어졌다. 세부 품목 중에서는 ABS수지(-6.7%), 알루미늄판(-6.6%), 이차전지(-4.0%), D램(-3.2%) 등이 하락폭이 컸다.
한편, 5월 무역지수(달러 기준)에서는 수입물량지수가 110.43으로 전년 동월 대비 1.3% 증가했으나, 수입금액지수는 128.35로 6.3% 하락했다. 수출은 물량지수가 2.5% 증가한 반면, 금액지수는 1.9% 줄어든 133.43을 기록했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94.50으로 전년 동월보다 3.4% 상승하며 23개월 연속 오름세를 이어갔다. 수출가격(-4.3%)보다 수입가격(-7.5%)의 하락폭이 더 컸던 영향이다. 소득교역조건지수 역시 114.80으로 전년 동월 대비 6.0% 상승했다.
댓글 많은 뉴스
김여정 "리재명, 역사의 흐름 바꿀 위인 아냐" 발언에…대통령실 "진정성 왜곡 유감"
김건희 "내가 죽어야 남편 살길 열리지 않을까"
"사과한다고 2030 마음 열겠냐"는 조국에 "이래서 사면 안돼" 우재준 비판
조국 "내가 사과한다고 2030 마음 열겠나"…국힘 "그럼 은퇴해라"
"尹 구치소 CCTV 영상 보겠다"…민주당, '자료 제출' 요구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