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정부, 산업금속 전략 비축 확대…美, 적대국 배터리 의존 감소법 통과
대체 가능 신소재 기술력 확보 필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후 배터리 시장 재편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미중 무역전쟁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산업의 주도권을 잡기 위해 2차전지 공급망 다변화에 속도를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중국 정부는 핵심 광물의 공급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해 올해 구리, 코발트 등 주요 산업금속의 전략 비축을 확대한다는 방침을 내놨다. 중국 국가양식물자비축국은 코발트, 구리, 니켈, 리튬 등의 구매를 계획하고 있다. 모두 2차전지 생산에 필수적인 핵심광물로 분류된다.
앞서 지난달 중국 상무부는 텅스텐을 비롯한 텔루륨, 비스무트, 몰리브덴, 인듐 관련 품목 및 기술에 대한 수출을 통제한다고 밝혔다. 향후 배터리 관련 품목으로 대상이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미국 정부는 중국산 배터리를 타깃으로 한 규제를 마련하고 있다. 미국 하원은 최근 '해외 적대국 배터리 의존도 감소법'을 통과시켰다. 미국 내 보안을 담당하는 국토안보부(DHS)의 자금을 사용하는 경우 중국산 배터리를 구매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미국 정부의 조치가 한국 업계에 긍정적인 효과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2차전지 생산에 필요한 원료 공급이 제한되면 산업 밸류체인(가치사슬) 전체가 타격을 입을 수 있다. 더 나아가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이 수정될 경우 중국산 원료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한국도 수출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
특히 포스코퓨처엠은 중국 의존도가 높은 전구체 생산 공정 구축을 완료했다.
전구체는 니켈, 코발트, 망간 등의 원료로 구성된 양극재의 중간 소재다. 전기차,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미래 첨단산업의 핵심 소재지만, 올해 3월 기준 중국에서 수입해오는 비중이 90% 이상이다.
이에 포스코그룹은 공급망의 탈중국화를 목표로 지난 2022년 11월10일 광양 율촌산단 내 양극재 공장을 세운 데 이어, 지난 10일 연산 4만5천t 규모의 전구체 공장까지 준공해 배터리 소재의 자급 체제를 완성했다. 전기차 50만대분을 생산할 수 있는 양이다.
한동수 광양 양극재소재실장은 "그동안 중국산 전구체에 거의 의존하다시피 했던 국내 배터리 시장의 지각변동이 일어났다"며 "국산 소재 시장의 양적 팽창이 일어나는 시작점"이라고 말했다.
산업연구원 관계자는 "중국은 미국의 대(對)중국 관세 부과와 같은 압박에 대응하기 위해 광물수출 통제에 더 적극적으로 나설 가능성이 높다. 중국의 추가 조치에 대비해 장기적으로 의존도가 높은 핵심광물의 공급망 다변화를 가속화하는 한편,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신소재 관련 기술을 확보해야 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김여정 "리재명, 역사의 흐름 바꿀 위인 아냐" 발언에…대통령실 "진정성 왜곡 유감"
김건희 "내가 죽어야 남편 살길 열리지 않을까"
"사과한다고 2030 마음 열겠냐"는 조국에 "이래서 사면 안돼" 우재준 비판
조국 "내가 사과한다고 2030 마음 열겠나"…국힘 "그럼 은퇴해라"
"尹 구치소 CCTV 영상 보겠다"…민주당, '자료 제출' 요구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