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태 "9월 전당대회 개최"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반대 당론 무효화" 등 강조
비대위·전대 등 지도체제 놓고 친윤계·친한계 갈등
새 원내대표 선거가 분수령 될 듯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대선 패배로 야당이 된 당의 '개혁 드라이브'를 강하게 걸겠다고 밝혔다.
'조기 전당대회'와 '비대위 유지' 등을 놓고 당내 계파별 갈등이 이어지는 가운데 김 위원장은 "9월 초까지 전당대회를 개최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8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9월 초까지 전당대회 개최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반대 당론 무효화 ▷대선후보 교체 진상 규명 ▷당심·민심 반영 절차 구축 ▷지방선거 100% 상향식 공천 등을 추진하겠다고 했다.
그는 "저는 전당대회에 출마할 생각이 전혀 없다"며 "비대위 체제가 아니라 선출된 당 대표 체제로 내년 지방선거를 치르는 것이 보수 재건과 지방선거 성공을 위한 당면 목표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12·3 비상계엄과 대선후보 강제 교체 논란 등 당의 악재들도 정면돌파하겠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탄핵에 대한 찬성과 반대를 이유로 서로를 적대시해 원색적으로 비난하거나 터무니없이 왜곡해 분란을 일으키는 행위를 해당 행위로 간주하겠다"며 "후보 교체 파동은 대선 국면에서 당원과 지지층에게 큰 충격을 안겨주었기 때문에 비대위원장으로서 당무감사권을 발동해 사건의 진상을 철저히 규명하겠다"고 말했다.
이달 30일에 임기가 종료되는 김 위원장은 "제 임기는 개혁이 완수될 때"라며 사실상 임기 연장을 염두에 둔 발언도 이어갔다. 국민의힘 당헌·당규에 따르면 비대위원장 임기는 전국위원회 의결을 받을 경우 1회에 한해 6개월 연장할 수 있다.
이날 김 위원장이 내놓은 쇄신책은 사실상 당내 친윤계를 겨냥한 것이란 게 정치권의 평가다.
그동안 친윤계는 '비대위 체제' 유지를 주장하며 한동훈 전 국민의힘 당 대표 등판이 유력한 조기 전당대회를 반대해왔다. 반면 친한계 의원들은 오는 7~8월 전당대회 개최를 요구해오고 있다.
당내에선 오는 16일 예정인 차기 원내대표 선거가 국민의힘의 미래를 엿볼 수 있는 분수령으로 보고 있다.
어떤 계파 출신의 원내대표가 선임되느냐에 따라 '조기 전대' 또는 '비대위 체제 유지' 등 향방이 갈릴 가능성이 높다는 이유에서다. 현재 원내대표 후보군에는 4선 김도읍·김상훈(대구 서구)·박대출·이헌승 의원, 3선 김성원·성일종·송언석(김천)·임이자(상주문경) 의원 등이 하마평에 오르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정동영 "대북 민간접촉 전면 허용…제한지침 폐지"
한동훈, 당대표 후보 검증 나선 전한길 두고 "진극 감별사"…김문수·장동혁 향해선 "'극우 없다'면서 줄서기"
李대통령, 과한 수사 제동…李경북도지사 첫 사례 되나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60%선 붕괴…20대 부정 평가 높아
이재명 "말 안하니 진짜 가만히 있는 줄 알아, 치아도 흔들려"…관세협상 침묵 이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