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2세 환자 증가세 가팔라…화·짜증 자주 내면 소아 우울증 의심해야
우울증, 불안장애 등 정신건강의학과 관련 질환을 앓는 어린이가 지난 4년동안 2배 이상 늘어났다.
4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받아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우울증 등 정신건강의학과 관련 질환으로 의원을 찾은 18세 미만 아동·청소년 환자는 27만 625명이었다.
이는 지난 2020년 13만3천235명과 비교했을 때 2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정신건강의학과 관련 질환 관련 아동 환자는 매년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2021년 17만2천441명, 2022년 21만2천451명, 2023년 24만4천884명을 기록했다. 이 기간 정신과 진료를 위해 의원을 찾은 아동 환자 증가 비율은 연평균 19.4%였다.
가장 증가세가 높았던 연령대는 7~12세 사이였다. 이 나이 대의 남자 아동 환자는 2020년 3만3천800명에서 2024년 7만6천159명으로 2.3배로 늘었다. 동일 연령대 여자 아동 환자는 1만2천260명에서 2만9천165명으로 2.4배로 증가했다.
13∼18세 남자 환자는 3만5천193명에서 6만6천459명으로, 여자는 3만4천44명에서 7만1천574명으로 각각 1.9배, 2.1배로 증가했다.
아동·청소년 환자가 가장 많이 진단받은 질환은 '우울에피소드', '운동 과다장애, '불안장애', '기분장애' 등이었다. 요즘엔 과도한 학업 등 스트레스 상황에 노출되면서 우울증을 앓는 어린이가 늘어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만약 자녀가 집중력이 심각하게 저하되거나 결정 내리기 어려워하고 자주 피로를 호소한다면 가볍게 여기지 말고 정신과 전문의와 상담할 필요가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