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인협회, 대구문인협회, 가톨릭 문인회 회원
시집 '커튼 콜' '구조적 못질' 외 3편
〈겨울눈〉
가만히 열리는 몸 깊이 들어가
헛간 한 채 짓는다
냉랭한 길 한참을 걸어온 나
고된 발 차가운 가지 끝에 놓고
봄의 틈을 벌린다
운주사 달빛에
몸 와불처럼 눕혀놓고
입김 호호 불며
언 발 씻겨주던 매화 그녀
가닥가닥 머리카락
헛간 문 열고 나와
가만 내밀던 말간 이마
그 꽃, 그립다

<시작 노트>
매일신문 신춘 문예 출신이며 부산일보 사장을 지내신 김상훈 선생님은 나의 초등학교 4학년 담임 선생님이셨다. 시인이셨던 선생님은 틈틈이 우리에게 글을 쓰게 하셨다. 학년을 마치고 헤어지는 마지막 날, 그간 써온 코흘리개들의 글을 한 권의 학급 문집으로 만들어 나누어 주셨다. 그 문집의 제목은 겨울눈이었고, 표지 그림도 보송보송 망울진 나무의 겨울눈이었다. 그 문집의 머리글에 선생님은 '우리 서로 잊지 말자는 것이다'라고 쓰셨다. 겨울이 가고 봄이 터지려 할 때 함께 부풀어 오르는 겨울 지난 나무의 눈을 보며, 그때마다 그 시절로 들어가 선생님을, 그리고 그때의 개구쟁이들을 기억했다. 봄 오는 길목을 며칠째 걸어 다니며 그제도 오늘도 선생님께서 우릴 보셨듯이 꿈을 키우는 망울들을 본다. 하루가 다르게 봄의 문을 열어가는 그들을 보면 지나온 냉랭한 시절과 위로의 입김들 모두 다 따뜻한 그리움이 된다. 봄이 점점 가까이 오는 모양이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