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만명 피난길, 휴전 연장 불발 이후 공세 강화
카츠 국방장관 "가자지구 전역에 군 활동 확장"
하마스 "남아 있는 인질 운명도 불투명해져"
이스라엘이 하마스에 대한 전면전 이후 다시 가자지구 전체 면적의 5분의 1가량을 점령했다. 이스라엘군은 12일(현지시간) 가자지구 남부 거점인 라파까지 완전히 장악하며 봉쇄 수위를 끌어올렸다. 라파는 이번 전쟁에서 가자 주민들에게 국제사회의 구호물자가 전달되는 핵심 통로로 역할해 온 곳이다.
미국 ABC 방송과 영국 BBC 통신에 따르면 카츠 이스라엘 국방장관은 이날 이스라엘군이 라파와 칸유니스 사이로 가자지구를 가로지르는 '모라그(Morag) 축선'의 장악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모라그는 과거 라파와 칸유니스 사이에 있었던 이스라엘 정착촌의 이름이다.
카츠 장관은 "이로써 (이집트와 가자지구 라파간 경계를 따라 구축된) 필라델피 회랑과 모라그 축선 사이의 전 지역이 이스라엘 안보 구역의 일부가 됐다"고 말했다.
유엔에 따르면 이스라엘은 휴전 협상이 교착된 와중에 최근 3주 동안 라파를 비롯한 가자지구 곳곳에 20차례에 걸쳐 대피령을 내렸으며, 이에 따라 40만명에 이르는 주민이 안전지대를 찾아 피란길에 올라야 하는 신세가 됐다.
이스라엘군은 이날도 칸유니스 안팎의 팔레스타인 주민들을 대상으로 대피 명령을 내렸는데, 하마스가 이스라엘 본토를 겨냥해 로켓을 발사한 데 대응해 폭격에 나설 것이란 이유에서였다.
카츠 장관은 라파뿐만 아니라 가자지구 북부에서도 "베이트하눈과 여타 지역이 점령되면서 주민들이 대피하고 있고, 안보구역이 확장됐다"고 말하면서 "이건 하마스를 제거하고 인질이 풀려나게 하는 동시에 전쟁을 종식시키기 위한 마지막 순간"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하마스는 "이스라엘군의 공세 재개로 무방비 상태의 민간인들이 살해됐을 뿐 아니라 인질들의 운명도 불확실해졌다"며, 억류 중인 미국-이스라엘 이중국적자 에단 알렉산더의 모습이 담긴 영상을 공개했다.
댓글 많은 뉴스
국민의힘 "주 4.5일 근무 대선 공약 반영하겠다"
한동훈, '한덕수 추대론'에 견제구…"출마 부추기는 건 해당 행위"
이철우, '선거 명소' 서문시장 방문…TK 지지세 결집 행보
이준석 "대구경북서도 호랑이 될 만한 사람 키워야…尹에게 누가 직언했나"
유승민, 국힘 경선 불출마…"이재명 이길 생각 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