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계좌 요청에 '직감'… 농협 직원의 한마디가 2천만 원을 지켰다

입력 2025-04-06 12:33:09

박은진 농협은행 구미중앙금용센터 지점장, 이혜정 계장
문자 속 링크 확인하고 보이스피싱 간파
비밀번호 변경·신분증 신고까지…사후조치로 고객 보호

박은진(오른쪽 두 번째) 지점장과 이혜정(왼쪽 두 번째) 계장 등 농협은행 구미중앙금융센터 임직원들이 보이스피싱 예방 안내지를 들고 사진을 찍고 있다. 조규덕기자
박은진(오른쪽 두 번째) 지점장과 이혜정(왼쪽 두 번째) 계장 등 농협은행 구미중앙금융센터 임직원들이 보이스피싱 예방 안내지를 들고 사진을 찍고 있다. 조규덕기자

지난달 7일 오전 10시쯤 농협은행 구미중앙금융센터. 한 중년 여성 고객이 아들과 함께 지점을 찾았다. 그녀는 다급한 목소리로 말했다. "해외에 돈을 보내야 해요. 외환계좌를 좀 만들어 주세요."

이 말을 들은 이혜성 계장은 평소와 다른 분위기를 직감했다. 외환계좌 개설을 요청하는 상황 자체도 드물었고, 고객의 표정과 말투에서 절박함이 느껴졌다. 그는 즉시 고객에게 받은 문자를 보여달라고 요청했다.

문자에는 링크가 있었고, 내용을 확인한 이 계장은 단번에 보이스피싱임을 알아챘다. 사기범은 "해외에 묶인 돈을 돌려주기 위해 환전 수수료 2천만 원을 보내야 한다"고 속이며, 고객을 다시 송금하게 하려 했던 것이다.

곧바로 박은진 지점장도 대응에 나섰다. 두 직원은 고객과 아들을 설득하기 시작했고, 반복적인 설명과 실제 사례를 통해 고객도 점차 마음을 열었다. 결국, 고객은 송금을 중단했고, 2천만 원의 피해를 사전에 막을 수 있었다.

농협의 대응은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계좌 및 카드 비밀번호 변경, 휴대폰 초기화, 신분증 분실 신고 등 개인정보 유출에 대비한 사후조치도 철저히 안내했다. 단순한 피해 차단을 넘어, 추가 범죄를 원천 차단한 셈이다.

이혜성 계장은 "그 순간 머뭇거리지 않고 대응할 수 있었던 건, 평소 보이스피싱 사례를 꾸준히 교육받고 공유한 덕분"이라고 말했다.

박은진 지점장도 "고객의 돈은 우리가 지킨다는 책임감으로 끝까지 대응했다"며, "앞으로도 농협은 보이스피싱 예방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박은※진 농협은행 구미중앙금융센터 지점장이 고객들에게 보이스 피싱 예방법을 안내하고 있다. 조규덕기
박은※진 농협은행 구미중앙금융센터 지점장이 고객들에게 보이스 피싱 예방법을 안내하고 있다. 조규덕기
보이스피싱 사기범이 보낸 피싱 문자. 절대로 클릭하거나 로그인을 하면 안된다. 농협은행 구미중앙금융센터 제공
보이스피싱 사기범이 보낸 피싱 문자. 절대로 클릭하거나 로그인을 하면 안된다. 농협은행 구미중앙금융센터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