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째 한자리에서 운영…대구·대전 등 제자 150여명 양성
대경선 개통으로 찾는 이 증가
"호떡 하나로 인생 역전 했습니다. 대경선 타고 왜관역에 내려 왕호떡 한번 먹어보세요."
경북 칠곡군 왜관읍 호떡 달인 웰빙왕호떡 차태일(61) 대표는 30년째 한 자리에서 호떡을 구워내고 있다.
그의 호떡 철판 인생 30년 동안 가르친 제자만해도 전국에 150여명에 달한다.
10일 김재욱 칠곡군수는 차 대표를 만나 지역경제 활성화에 힘을 보탰다.
그는 IMF 이전 철강 사업으로 큰 돈을 벌었다. 그러나 어음 38억원이 부도나며 모든 것을 한 순간에 잃어 버렸다.
그는 "돈도 잃고, 사람도 떠나고, 한 동안 바람처럼 떠돌았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그러다가 길에서 우연하게 호떡을 만났다.
철판 위에서 부풀어오르는 반죽처럼, 그는 호떡 한 장으로 다시 재기의 발판을 만들었다.
왕호떡의 맛을 내기 위해 실패를 수없이 반복하면서 그 만의 맛을 내는 왕호떡을 개발했다.
왕호떡은 크기에서 압도한다. 일반 호떡보다 2배로 크다. 겉은 바삭하지만 속은 부드럽다. 호떡 소도 달콤하면서도 흘러내리지 않는게 기가막히게 조화를 이루고 있다.
대구, 대전, 울산, 강원도 양구, 전주 등 전국에서 150여명의 제자가 왕호떡을 팔고 있다.
그는 아무나 제자로 받아주지 않았다.
그는 "돈만 낸다고 제자가 되는 게 아니지요. 내 가락(손동작)이 나올 때까지, 내 손맛을 익힐 때까지 가르친다"면서 "기름 온도 맞추는 법, 반죽 숙성 시간, 소 넣는 비율까지 손끝으로 느끼는 감각을 몸에 새길 때까지 끊임없이 가르친다"고 말했다.

이곳의 호떡이 특별한 이유는 기름 맛이 다르기 때문이다.
그는 "한번 쓴 기름은 절대 다시 안 쓴다. 매일 아침 새 기름으로 시작한다"며 "장사는 끝나고 집에 갈 때 기분이 좋아야 다음 날 문 열 때도 기분이 좋다"고 했다.
이곳의 호떡은 입소문을 타면서 대구, 구미 등 인근 도시에서 오는 손님들이 절반을 차지한다.
특히 대경선이 개통되면서 왜관역에서 내려 미군부대 후문쪽으로 10여분 걸어오면 웰빙왕호떡을 만날 수 있다.
그는 "대경선 타고 왜관역에 내려 호떡 한 장 먹으로 오는 재미도 추억으로 남을 것"이라고 했다.
김재욱 군수는 "대경선 개통과 U자형관광벨트를 연계해 더 많은 고객들이 이곳을 찾을 수 있도록 칠곡군이 적극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댓글 많은 뉴스
윤희숙 여의도연구원장, 국민의힘 새 혁신위원장
트럼프 '25% 관세' 압박에…한국, 통상+안보 빅딜 카드 꺼냈다
[단독] '백종원 저격수'가 추천한 축제…황교익 축제였다
李대통령, 이진숙 국무회의 제외 결정…"공무원 중립의무 위반"
감사원 "이진숙 방통위원장 정치중립 의무 위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