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금 현물 한때 연고점보다 15%가량 급락
차익 실현 물량 증가로 하락… 관세전쟁 여파로 상승 전환
국내외 불확실성 확대 영향으로 치솟았던 금 가격이 급등락을 겪고 있다. 국내 금 가격이 국제 시세보다 높게 형성되는 이른바 '김치 프리미엄'이 가라앉으면서 조정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해석이 나온다.
5일 한국거래소(KRX)에 따르면 이날 KRX 금시장에서 1㎏짜리 금 현물 가격은 1g당 14만4천600원으로 전 거래일보다 1천860원(1.30%) 올랐다. 3거래일 연속 상승세다. 앞서 금값은 지난달 27일(13만8천310원)까지 연달아 하락하며 13만원대로 내려왔다. 연고점을 찍은 지난달 14일(16만3천530원)과 비교하면 2주 만에 2만5천원(15%)가량 급락한 것이다.
최근의 급락세는 금값이 높을 때 차익을 실현하려는 매도 물량이 증가한 점 등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국내 금값이 '포모'(FOMO·나만 소외된다는 두려움) 심리에 기인해 고평가됐다는 인식이 번지면서 조정을 받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국내 금값은 국제 시세보다 1kg당 1천400만~2천700만원 정도 높다는 게 업계 설명이다.
금값이 며칠 새 상승으로 전환한 건 미국 행정부의 관세정책 발표로 국가 간 '관세전쟁'이 가시화된 영향으로 해석된다. 일반적으로 국제 정세가 불안정하거나 경제적 불확실성이 커질 때 금, 달러와 같은 안전자산을 선호하는 현상이 강해진다.
이에 더해 각국 중앙은행의 금 매입 확대 등으로 수요가 늘어난 만큼 금 시세는 추세적으로 상승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된다. 세계금위원회는 지난달 보고서를 통해 "각국 중앙은행이 3년 연속으로 총 1천톤(t)이 넘는 금을 매입했다. 지난해 연간 투자액은 1천186t으로 4년 만에 최고였고, 4분기에만 333t에 달했다"고 밝혔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위원은 "금 가격을 견인하는 건 골드바 투자와 중앙은행 금 매입 증가, 금 관련 상장지수펀드(ETF) 수요 등이다. 관세정책 등 트럼프 2기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안전자산 수요를 더욱 자극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금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했지만 버블 수준에는 이르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고 진단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