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첨단제조업 기금·AI 등 투자해 일자리 2만개 창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폭탄 정책 우려 속에 애플이 파격적인 미국내 투자에 나선다.
애플의 이같은 행보는 대부분의 자사 제품을 중국에서 생산해 미국으로 판매하고 있는 데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 생산품 관세가 부담으로 작용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24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 등에 따르면 애플은 이날 성명을 통해 "앞으로 4년 동안 미국에 5천억달러(약 714조원) 이상을 지출·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애플은 역대 최대 규모의 투자라며 이에 따라 일자리 2만개 이상이 생길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계획에는 텍사스주 휴스턴에 새 공장을 짓고, '첨단 제조 기금'(Advanced Manufacturing Fund)을 두배로 확대하며 인공지능(AI) 등에 투자를 가속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성명에서 "미국 제조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게 돼 기쁘다"며 "미국 혁신의 역사에서 놀라운 새 장을 쓰기 위해 미국 전역의 사람들, 기업들과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애플의 이날 발표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 부과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나왔다.
앞서 지난 21일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열린 주지사 모임에서 쿡 CEO가 백악관 집무실에 와서 "수천억 달러를 투자하겠다고 말했다"라고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쿡 CEO가 멕시코에 있는 두 개 공장을 중단하고 대신 미국에서 제품을 생산할 것"이라고 밝혔다면서 "그들은 관세를 피하고 싶어 한다"라고 전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4일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했는데, 아이폰 등 자사 기기의 상당 부분을 중국에서 생산해 미국에 판매하는 애플로선 이런 관세가 상당한 부담이 될 것으로 관측됐다.
트럼프 1기 때에도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가 부과됐으나, 쿡 CEO는 당시 트럼프 대통령을 설득해 관세 면제를 얻어낸 바 있다.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조기 대선 시 시장직 사퇴…내가 집권하면 TK현안 모두 해결"
[단독] 국가보안법 전과자, 국회에 몇 명이나 있을까?
전국 곳곳 이어지는 '탄핵 반대' 목소리… 이번엔 대전서 '윤 탄핵 반대' 세력 집결
'탄핵 반대' 대전 집회, 30만명 예상…매일신문 전한길 강사 연설 등 현장 생중계
신평 "한동훈, 키워준 尹 배신…탄핵소추·구속 방아쇠 당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