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공세 속 국힘, 오늘 '尹 질서있는 조기퇴진' 로드맵 발표

입력 2024-12-10 08:10:29 수정 2024-12-10 08:12:29

우원식 국회의장이 7일 오후 국회 본회의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에 대해 의결 정족수 부족으로
우원식 국회의장이 7일 오후 국회 본회의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에 대해 의결 정족수 부족으로 '투표 불성립'을 선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탄핵안 표결 전후로 윤석열 대통령의 '질서있는 조기퇴진'에 대해 언급한 가운데 오늘 구체적인 시기와 방법에 대해 밝힐 것으로 알려졌다.

10일 국민의힘은 당내 여론 수렴을 거쳐 윤 대통령의 조기 퇴진 로드맵을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국민의힘은 윤 대통령 2차 탄핵소추안 표결에서는 기존 '반대' 당론을 유지하면서도 1차 표결 때와 달리 투표에 참여할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지난 9일 국민의힘은 5시간가량 진행한 비공개 의원총회에서 비상계엄을 선포했던 윤 대통령의 거취와 관련한 토론을 벌인 바 있다. 정치권에 따르면 당시 당 소속 의원 108명 가운데 30여 명이 발언자로 나섰고, 대다수가 윤 대통령의 조기 퇴진에 동의한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윤 대통령의 퇴진 시점과 관련해서는 '한 달 이내'부터 '1년 6개월 뒤인 2026년 6월 지방선거'까지 다양한 의견이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총회에 참석한 한 의원은 "퇴진 방식과 관련해서는 '하야(下野)'하되 임기 단축 개헌을 함께 추진할지를 두고는 의견이 나뉘었다"며 "다만 2차 탄핵안 표결 전 국민이 납득할 만한 퇴진 로드맵을 제시해야 한다는 데는 이견이 거의 없었다"라고 말했다.

또 다른 의원은 "우리끼리 조기 퇴진이냐 탄핵이냐 구도로 이야기가 나오는 것 자체가 말이 안 된다"고 주장하며 친한계를 향한 성토가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친윤계 중진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친한계 일각의 '조기 하야' 주장에 대해 "민주당이나 할 법한 이야기로, 일고의 가치도 없다"며 "(그럴 바에는) 탄핵을 통해 법리적 판단을 구하는 게 오히려 나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국민의힘은 14일로 예상되는 2차 탄핵 표결에는 국회 본회의장에 입장해 투표하기로 정했다.

한편, 지난 7일 1차 탄핵안 표결 당시에 국민의힘 의원들이 투표에 불참하면서 탄핵안은 의결정족수(200명 이상)를 충족하지 못해 '투표 불성립'으로 폐기됐다.

국민의힘 고위 관계자는 "표결 불참에 대한 비판 여론에 의원들이 부담을 느끼지 않도록 표결에 임할 것"이라며 "다만 '탄핵 반대' 당론은 현재로선 유지되는 분위기"라고 했다.

현재 윤 대통령의 내란 혐의와 관련해 검·경 수사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야권의 탄핵 공세가 이어지고 있어 여당은 구체적인 퇴진 로드맵을 빠르게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