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오후 7시 봉산문화회관 가은홀
태평무·한량무·소고춤·진쇠춤·노랫가락장고춤·보렴화무·현학무
대구무용협회가 주최·주관하는 '2024 대구전통춤의 밤-춤, 노닐다'가 26일(토) 오후 7시 봉산문화회관 가은홀에서 열린다. 지역 출신 명무 7인이 무대에 올라 우리의 대표 정서인 '한'이 깃든 전통춤을 특유의 흥과 멋으로 선보인다.
올해 4회째로 열리는 이번 공연의 첫 무대는 '태평무-한영숙제 박재희류'(출연 박정희)가 공연된다. 한성준-한영숙-박재희로 이어지는 국가무형문화재 제92호 태평무는 국태민안과 태평성대를 기원하는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춤이다. 중정재의 미적 요소가 담겨 있어 우아하면서도 절제미가 강한 춤이다.

이어 '한량무-임이조류'(출연 최석민)는 선비의 내면적 심성을 한과 흥의 이미지로 표출하는 춤이다. 남성 특유의 호방한 춤사위로 전통춤의 기품을 보여준다.

'소고춤-권명화류'(출연 김미수)는 영남 지역의 독특한 특색을 드러낸다. 동시에 해학적이면서 입춤에서 느낄 수 있는 아름다운 여성미가 함께 어우러진 춤이다.

'진쇠춤-문진수류'(출연 박진미)에서는 쇠 연주와 채발림을 활용해 화려하고 발놀림이 섬세한 춤사위를 선사한다. 춤이 진행되면서 빨라지는 움직임이 특징이다.

또한 '노랫가락장고춤-성윤선작'(출연 조연우)은 경기민요인 창부타령과 방아타령에 맞춰 흥겨운 춤과 구성진 장고 가락을 얹은 작품이다. '보렴화무-강성민안무'(출연 이선경)은 이매방류 승무 춤사위와 북가락을 기본으로, 연꽃의 다채로운 향기와 세상을 향한 염원을 담아냈다.
마지막 무대로 '현학무'(출연 노현식)를 선보인다. 고구려 왕산악이 처음으로 여섯줄 거문고를 만들어 연주했을 때 어디선가 검은 학이 날아와 춤을 췄다는 설화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춤이다.
변인숙 대구무용협회 회장은 "대구 춤꾼들이 전통을 잇고, 우리만의 정서를 교감할 수 있는 시간을 펼칠 예정이다"라며 "오래전부터 이어져 온 아름다움을 함께 즐길 수 있는 뜻깊은 시간이 됐으면 한다"라고 밝혔다. 전석 무료. 7세 이상 관람가. 문의 010-9357-8780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