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병원] 정교하고 안전한 로봇 수술 도입으로 혁신적 도약

입력 2024-07-31 06:30:00

구자일 병원장이
구자일 병원장이 '다빈치 Xi'를 이용해 수술을 집도하고 있다. 구병원 제공.

1991년 개원한 구병원은 전국에 단 4곳 뿐인 대장항문전문병원 중 유일한 종합병원이다.

2011년부터 5회 연속 보건복지부가 지정한 대장항문전문병원인 구병원은 연평균 5천여 건의 대장항문 수술, 2만여 건의 대장내시경 검사, 3만여 건의 위내시경 검사를 시행하고 있으며 대장항문 질환을 포함한 외과계 수술 분야에서는 수술 건수 면에서나 의료 수준 면에서도 전국적인 명성을 얻고 있다.

국내 역대급 의료진을 갖추고 있다고 자부하는 구병원은 현재 40명의 의료진 중 외과 전문의가 17명이며, 대장암, 치질, 탈장, 탈직장, 변실금, 충수염, 담낭염, 장파열, 장폐색, 염증성장질환, 크론병, 유방암, 갑상선암 수술을 전담하며 최고의 술기를 갖춘 전문병원으로서 확고한 입지를 지키고 있다. 또 지역 응급의료기관으로서 야간, 공휴일에도 수술이 가능한 17명의 외과 전문의는 지역 응급의료체계의 든든한 버팀목이 되고 있다.

지역 중소병원으로는 접근하기 어려운 대장암·직장암 수술도 꾸준히 집도, 지금까지 대장암·직장암 수술만 2천700례를 달성했다. 특히 올해 6월에는 대장암·직장암 복강경 수술 1천900례를 달성했는데, 2007년에 해당 질환의 수술을 시작한지 불과 17년 만에 이룬 놀라운 성과이고 상급종합병원 등을 제외하면 대구·경북지역에선 최초의 기록이라는 게 구병원의 설명이다.

구병원은 최근에 로봇수술센터를 개설하고 4세대 수술로봇 '다빈치 Xi'를 도입, 다양한 외과계 질환의 본격적인 로봇수술을 시작했다.

다빈치Xi 수술 로봇은 정교하고 유연한 4개의 로봇팔과 15배 확대되는 고화질 3D 입체영상시스템 등 최첨단 기술들이 집약되어있는 세계적인 수술 로봇으로 전 세계에 3천여대가 운용 중이다. 해당 로봇 대부분은 미국 및 유럽의 병원에 설치돼 있으며, 그 중 우리나라에는 178대가 설치되어 있고 대구에서는 구병원이 12번째로 도입했다.

로봇수술은 정교한 로봇 팔의 움직임을 통해 세밀한 동작이 필요한 미세한 신경, 혈관 수술 시 정교한 수술이 가능하며 주로 대장암, 직장암, 갑상선암, 담석증 등 고난도 외과계 수술에 사용한다.

구병원의 로봇수술센터는 로봇수술을 담당하는 의료진이 로봇수술의 최신 술기 습득을 위해 학회, 컨퍼런스에 참가하고, 전담 코디네이터를 두고 환자가 로봇수술에 대한 환자상담과 수술 스케줄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또한 로봇수술 집도의의 숙련도 향상을 위한 로봇트레이닝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새로운 의료진을 위해 다양한 로봇수술 교육프로그램도 운영 중이다.

로봇수술 도입 전에도 구병원은 많은 특장점을 지닌 지역에서는 보기 드문 강소병원으로 이름이 높다. 구병원의 '원형자동봉합기(PPH)를 활용한 치질수술법'은 기존 수술에 비해 통증은 10분의 1 수준이고 치료 기간도 매우 짧고 재발률을 최소화 시켜주는 장점으로 해외에서도 유명하다. 또, 지금까지 구병원에서 치료 중이거나 진료한 크론병 환자는 500명, 궤양성 대장염 환자는 2천명에 달해 염증성 장질환 분야에서도 훌륭한 실력을 자랑한다.

구자일 병원장은 "오직 생명 존중, 환자 중심의 철학과 최선의 진료가 의사의 기본 책무라는 신념은 앞으로도 변함없을 것이며 소외계층을 위해 지속적인 나눔과 봉사를 펼쳐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구자일 구병원장. 구병원 제공.
구자일 구병원장. 구병원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