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갈등 주요 쟁점, 정부vs의료계] 4. 보상체계 공정성 제고
환자의 치료 선택권 박탈에 더해 불법 진료 논란 발생까지
미용의료 시술 자격제도도 의료인이 점령할 가능성 커
의료계가 정부의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중 향후에 가장 많은 문제를 불러일으킬 것으로 보는 부분이 '혼합진료 금지' 부분이다. 의료계는 지난달 초 있었던 '분만시 무통주사·페인버스터 병행금지' 관련 논란이 혼합진료 금지가 불러올 파장의 예고편이라고 주장한다.
지난달 3일 복지부는 요양급여 적용기준을 개정하면서 '개흉·개복술 등 수술부위로의 지속적 국소마취제 투여'를 제한하는 내용을 포함했다. 이 내용이 알려지면서 산모와 산부인과 의사들의 반발이 잇따랐다. 개정된 기준대로라면 현재 제왕절개로 분만을 할 때 무통주사와 수술할 때 별도의 방법으로 국소마취제를 투여해 통증을 줄여주는 페인버스터를 함께 사용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대구 시내 한 산부인과 전문의는 "정부 발표 이후 많은 산모들이 걱정어린 목소리로 많이 문의하셨고 일부 산모는 수술 날짜를 앞당기기도 했다"며 "분명히 산모의 분만을 도와주는 치료인데 이를 현장 상황도 확인하지 않은 채 금지시켜버린 탓에 정부가 오히려 출산률 저하에 기여하는 것 아니냐는 푸념까지 산모와 의사들 사이에서 나왔었다"고 말했다.
의료계는 페인버스터 논란만 봐도 향후 혼합진료 금지 항목이 환자들의 치료 선택권을 굉장히 제한할 것이라 주장한다. 비급여 치료가 필요한 환자인데 혼합진료 금지 항목때문에 진료를 못 받거나 건강보험 급여 진료까지 비급여로 돌려서 받아야 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는 말이다. 급여 진료를 비급여 진료로 돌리는 경우 불법 진료 문제까지 불거질 수 있다는 게 의료계가 우려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미용의료 시술 부분에서 별도 자격제도를 추진하는 부분에 있어서도 의료계는 큰 효과를 보지 못할 것으로 보고 있다.
대구 시내 한 개원의는 "정부가 염두에 두고 있는 부분이 문신과 같은 부분일텐데 만약 자격제도가 시행된다면 자격증을 가진 일반인보다 자격증을 가진 의사를 더 선호할 가능성이 높다"며 "현재 의대 증원으로 배출된 의대생들이 이 분야를 노리고 들어갈 가능성이 높고 그렇게 되면 필수의료 인력 확충이라는 정부의 목표는 실패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댓글 많은 뉴스
김여정 "리재명, 역사의 흐름 바꿀 위인 아냐" 발언에…대통령실 "진정성 왜곡 유감"
한동훈 "조국 씨, 사면 아니라 사실상 탈옥, 무죄라면 재심 청구해야"
'조국 특사' 때문?…李대통령 지지율 51.1%, 취임 후 최저치
김건희 "내가 죽어야 남편 살길 열리지 않을까"
"횡령 의도 없다"…경찰, 문다혜 '바자회 모금 기부 의혹' 무혐의 처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