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부터 서울대병원 4곳 무기한 휴진…정부 ‘구상권 청구’ 압박

입력 2024-06-16 20:36:28 수정 2024-06-17 05:39:28

한덕수 국무총리가 1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의사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덕수 국무총리가 1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의사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오는 17일부터 서울대 의대 산하 서울대병원과 분당서울대병원, 보라매병원, 서울대병원강남센터 등 4개 병원 교수들이 무기한 휴진에 들어간다. 이에 정부는 '구상권 청구'를 언급하며 압박 수위를 높였다.

16일 서울대 의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소속 교수 967명을 조사한 결과 외래 휴진이나 축소, 정규 수술·시술·검사 일정 연기 등으로 휴진에 참여한다고 밝힌 교수가 529명(54.7%)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비대위 측은 이어 "3개 병원의 수술실 가동률은 33.5%로 현재 62.7%의 절반가량이 될 것으로 보인다"며 "진료 전면 중단 대신 축소를 선택한 교수들도 상당수 있어 진료양은 40%가량 줄어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한덕수 국무총리는 이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주재하며 비대위 측이 휴진 철회 조건으로 내세웠던 '전공의 행정명령 취소'는 받아들일 수 없음을 재차 강조했다.

정부는 "집단 휴진 장기화로 병원이 손해를 입은 경우 휴진 참여 교수에게 배상을 요구하는 구상권 청구 검토를 요청하겠다"며 의대 교수들에 대한 압박을 이어갔다.

이에 더해 정부는 이날 대한의사협회가 18일 전면 휴진 철회 조건으로 내세운 내년도 의대 증원 재검토 등 '3대 요구'에 대해서도 "불법적 전면 휴진을 전제로 정부에 정책을 요구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며 거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