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 입원, 수술 줄줄이 연기…집단 휴진 앞두고 속타는 환자들

입력 2024-06-16 16:29:17 수정 2024-06-16 20:20:10

환자·보호자 “진료 불이익 받을까 항의도 못해”
환자단체 “진료차질 있다”…교수들과 공개토론 제안
무더위 기승 온열질환자도 늘어나는데 “어떻하나”
정부, 응급환자 진료 차질없도록 비상대책 마련

한국환자단체연합회, 중증아토피연합회, 한국희귀·난치성질환연합회, 한국유방암환우총연합회 등 환자 단체 회원들이 13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국회 앞에서 의료계 집단휴진 철회를 촉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환자단체연합회, 중증아토피연합회, 한국희귀·난치성질환연합회, 한국유방암환우총연합회 등 환자 단체 회원들이 13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국회 앞에서 의료계 집단휴진 철회를 촉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의료계의 집단휴진(18일)을 앞두고 일선 대학병원 중심으로 외래진료, 입원, 수술 일정이 줄줄이 연기되면서 환자들이 극도의 불안감에 시달리고 있다. 환자와 보호자들의 불만이 높아지고 있지만 혹시나 의료진에게 미운털이 박힐까봐 대놓고 불만 토로를 하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상황이 이렇자 환자단체들은 의대교수들을 상대로 공개 토론을 제안하고 나섰다. 최근 기온이 높아지면서 온열질환 환자까지 늘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응급환자의 차질없는 진료를 위한 대책을 내놓는 등 비상상황 대비에 들어갔다.

◆진료, 입원, 수술 줄줄이 연기

오는 18일 경북대병원에 외래진료가 예약돼 있던 환자 A씨는 지난 14일 병원으로부터 "이날 진료가 어렵다"는 연락을 받았다. 의사들의 집단 휴진 소식이 전해진 지난 13일 병원측에 수차례 확인했고 "정상진료가 가능하다"고 했으나 하루만에 번복됐다.

칠곡경북대병원에 다니던 B씨는 1박2일 입원검사를 받기 위해 예약을 했으나 한달 뒤에 입원날짜가 나왔다. B씨는 고령인데다 상태가 좋지 않아 빠른 검사를 요청했으나 거절당했다. 파업에 대비해 가능한 입원환자를 받지 않는다는 소식을 전해 듣고 화가 났지만 혹시나 치료받을때 불이익을 당할까봐 항의조차 못했다.

지난 12일에는 인천지역에서 복막염으로 긴급 수술이 필요한 50대 환자가 수술을 못해 상급종병원을 찾아다니다가 이날 밤 인천의료원에서 조승연 원장에게 직접 수술을 받아 위기를 넘겼다.

◆환자단체 "진료 차질 있다"

환자단체들은 16일 무기한 휴진을 하루 앞둔 서울대 의대·병원 교수들에게 공개 토론을 할 것을 제안했다. 휴진에도 불구. "중증 환자 진료에 차질이 없을 것"이라는 교수들의 설명이 현실과 다르다면서 공개 석상에서 따져보자는 것이다.

한국암환자권익협의회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암환자 281명 중 전공의 집단 파업 이후 67%가 진료 거부를 경험했다. 52%는 치료가 지연되고 있다고 답했다.

한국중증질환연합회는 "환자 주요 피해 사례로는 입원 취소, 전원 종용, 수술 취소 가능성 통보, 응급실 진료 거부 등이 있다"며 "의료계 갈등에 따른 환자들의 피해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음을 보여주는 것인데, 그런데도 교수들은 중증, 응급 환자들은 문제없게 한다는 포장된 발표만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무더위 기승…온열질환 어떡하나

최근 무더워지는 날씨에 온열질환자가 늘어나고 있다. 수일쩨 폭염 특보가 이어지고 있는 대구경북에서는 지난 14일 기준으로 이미 19명의 온열질환자가 발생했다. 질병관리청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에 따르면 지난달 20일부터 이달 12일까지 발생한 온열질환자는 경북 18명, 대구 1명으로 잠정 집계됐다.

올해 온열질환자 수를 공식 집계한 지 23일 만에 대구·경북 통틀어 두 자릿수다. 경북에서는 내륙을 중심으로 온열질환자가 많이 발생했다. 지역별로는 구미 7명, 김천 3명, 영주 2명, 포항 2명, 경주 1명, 군위 1명, 의성 1명, 칠곡 1명 등으로 나타났다. 대구는 이른 무더위가 기승을 부렸던 지난 12일 달서구에서 온열질환자가 1명 발생했다.

전국 응급실 운영 의료기관이 자발적으로 참여한 표본 집계 결과인 만큼 병원에 가지 않은 온열질환자는 실제 더 있을 수 있으며 폭염이 더욱 심해지는 중으로 걱정이 커지고 있다.

◆정부, 응급환자 진료 차질 없도록

정부는 다음 주 의료계 집단휴진을 앞두고 응급환자의 진료 차질을 최소화하기 위해 17일부터 중증 응급질환별 순환 당직제를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골든타임(최적기) 내 치료해야 하는 환자 진료를 위해 17일부터 '중증 응급질환별 전국 단위 순환 당직제'를 시행한다.

대상 질환은 ▷급성대동맥증후군 ▷12세 이하 소아 급성복부질환 ▷산과 응급질환이며 향후 다른 응급질환으로 대상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암 환자가 적시에 치료받을 수 있도록 국립암센터 병상을 최대한 가동하고, 서울 주요 5대 병원과도 핫라인을 구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