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여론조사 많이 반영하자니 당원 눈치 안 볼 수 없어
지도체제 변경하자니 '한동훈 견제용이냐' 비판
가뜩이나 여소야대 국면인데…전대 흥행 못할까 전전긍긍
국민의힘이 다음 달 26일 개막하는 파리 올림픽 직전 전당대회를 열고 새로운 지도부를 선출하기로 했지만 흥행 가능성을 두고 회의적 시선이 적잖다.
4·10 총선 참패 이후 대대적 쇄신을 요구하던 당 안팎의 목소리는 잠잠해졌고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당 대표에 출마할 경우 결과는 뻔하다는 '어대한'(어차피 대표는 한동훈) 분위기마저 형성되고 있다.
9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은 이번 주 차기 대표 선출 방식과 지도체제 변경 여부와 관련해 큰 가닥을 잡을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 당헌당규특별위원회는 12일까지 전당대회 대표 선출 규정 개정 방안을 논의한 뒤 13일 비상대책위원회에 결과를 보고한다.
특위는 당 대표 선출 방식에 대해선 바꾸기로 가닥을 잡았다. 당원 투표 100%만으로 대표를 선출하는 현행 규정을 고쳐 일반 국민 여론조사(민심)를 일정 비율 반영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민심을 반영하지 못하는 대표 선출 규정이 민심과 당심의 괴리를 일으켜 총선 참패의 단초가 됐다는 비판을 반영한 조치로 풀이된다.
국민 여론조사 반영 비율을 두곤 20~30% 사이가 유력하게 거론된다. 20%의 경우 여조 반영 비율이 낮아 혁신 의지가 부족하다는 비판을, 30%의 경우 당원들의 불만을 살 수 있다는 뒷말을 낳을 수 있어 그 사이의 타협안이 나오지 않겠느냐는 전망이 제기된다.
지도체제의 경우 현행(단일체제) 유지에 힘이 실리고 있다. 당 일각에서 집단체제, 절충형 2인 체제 등을 요구하고 있지만 전당대회까지 시간이 촉박하고 오히려 부작용만 생길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단일체제는 당 대표와 최고위원단을 분리 선출하는 것이고 집단체제는 단일 경선에서 최다 득표자가 대표 최고위원, 차순위 득표자들이 최고위원이 되는 방식이다. 2인 체제는 1위를 당 대표, 2위를 수석최고위원으로 각각 선출하는 방안이다.
집단체제나 2인 체제의 경우 지도부 내 다툼이 벌어질 경우 당의 분열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이 같은 지도체제 변경 요구의 배경을 두고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이 당 대표가 됐을 경우 견제하려는 목적이 있는 게 아니냐는 의구심이 적잖다.
다만 전당대회가 지도체제 변경 없이 국민 여론조사만 일부 반영하는 식으로 결론 날 경우 '어대한' 분위기가 공고해져 여론의 주목도를 끌기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총선 참패 책임이 있는 한 전 위원장이 다시 당 간판으로 나서는 모양새가 당원의 환영은 받을지라도 국민에게는 진정성 있는 쇄신의 모습으로 비치기 어렵다는 비판도 있다.
정치권 관계자는 "거대 야당에 포획된 국민의힘은 이번 전당대회에서 세워질 지도부가 여론의 관심과 기대를 받아내는 게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면서 "전대 흥행과 국민의 지지를 끌어내지 못한다면 향후 정국에서 야당의 독주에 끌려다닐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