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은 살기 위해서 여기로 몰려드는데, 나는 오히려 사람들이 여기서 죽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릴케의 『말테의 수기』 첫 구절은 이렇게 시작한다. 그가 감지했던 20세기 초 대도시 파리의 모습은 빈곤과 침체로 절망스러웠던 것 같다.
현재 이 땅에서 느끼는 심정도 별반 다를 바 없다고 본다. 꼬부라진 마음을 펴지 못하고 하루하루 가슴에 분노를 품고 살아가는 사람들. 마음속은 시뻘겋게 불타는 집이다. 모두 살려고 바둥대는데, 오히려 함께 죽으려는 듯한 느낌마저 든다.
북한이 보낸 오물 풍선이 남한 땅 여기저기에 떨어지고, 누구는 이혼소송으로 1조 이상을 물어야 할 판이고, 누구는 감옥에 가지 않으려 온갖 탄핵 카드로 안간힘이고…. 한 마디로 아수라고 난리 부루스다. 이 말부터 해두고 싶다. "중생아 제발, 마음 좀 바로 쓰거라!"
"마음 바로 쓰라"는 말에는 참 많은 의미가 담겨 있다. 마음을 그릇되게 먹거나 마음을 삐뚤게 내지 말라는 뜻이다. '마음 바로 먹고, 바로 내는' 게 어려워진 세상이라 이런 말들이 더 어렵게 들린다. '마음을 먹다'는 것은 마음을 품거나 정한다는 뜻이다. 그리고 '마음을 내다'는 것은 속에 들어있는 마음을 밖으로 드러낸다는 뜻이다.
마음 바로 쓰라는 말을 담은 글자가 있다. '덕(德)' 자이다. 이 옛 글자는 '곧을 직(直)' 자에 '마음 심(心)' 자를 합친 글자[悳]였다. 글자대로 읽으면 '곧은 마음' 혹은 '마음을 곧게 내다'가 된다.
그러나 올곧은 마음으로 덕 있게 살아가는 사람 주변은 썰렁하기 마련이다. 폭포수가 거침없이 직하하듯, 뒤돌아보지 않고 곧은 마음으로 산다는 것은 기어코 외로운 길을 걷는 일이기 때문이다. "덕 있는 자 외롭지 않고 반드시 이웃이 있다"고는 하나, 사실 이 말은 애써 위로하는 것처럼 들린다.
덕 있는 자의 길은 힘겹다. 그래서 예전에는 곧은 마음을 잘 찾아가라고 '진덕(進德)'이니 '입덕(入德)'이니 하는 말을 썼다. "사람이 살아가는 것은 곧음[直] 때문이며. 속이고 사는 데도 화를 면하고 있는 것은 요행일 뿐"이라고 했다. 이 땅의 '입벌구(입만 열면 구라)'들이 찾는 길은 곧음이 아니라 감옥 문이어야 한다.
역동 우탁은 도끼 상소로 유명하다. 충선왕이 부왕의 후궁인 숙창원비와 통간하자 백의 차림에 도끼를 들고 거적자리를 짊어진 채 대궐로 들어가 목숨을 걸고 간언했다. 받아들일 수 없다면 도끼로 머리를 쳐 달라, 죽어도 좋으니 그것만은 안 된다는 뜻의 상소였다. 이런 정신은 한 마디로 '곧음의 힘'에서 나오는 것이다. 아무런 치장 없는, 그야말로 "발가벗은 맨몸의 힘"(naked strength) 말이다.
테니슨은 '참나무'라는 시에서 말했다. "네 일생을 살라,/젊은이 늙은이여,/저 참나무 같이, (…) 모든 그의 잎은/끝내 떨어졌다,/보라, 그는 우뚝 섰다,/줄기와 가지뿐,/발가벗은 힘을." 다 벗어던지고 우뚝 선 참나무에서 테니슨이 발견한 "발가벗은 힘"은 올곧음의 힘과 통한다. 이런 글을 읽으면 어딘지 위로받고 보상받는 듯해 감사하다.
조주 스님을 찾아오던 한 스님이 노파에게 물었다. "오대산으로 가는 길이 어느 쪽입니까?" 노파가 말했다. "똑바로 가시오." 스님이 서너 발자국을 옮기자 노파가 말했다. "참 멀쩡한 스님이 또 저렇게 가시다니." 자신의 마음에서 바로 찾으면 될 것을 왜 하필 큰스님을 찾아 둘러 다니냐는 비아냥이다.
우리 내면에는 햇살이 곧게 내리쬐는 빗살무늬가 있다. 내면의 태양이자 눈동자인 '밝은 덕'이다. 천지로부터 증여받은 선물이다. 이것을 밝혀 등불 삼아 본성의 양심대로 바른길을 곧장 가라고 한다. 잘 보라. '덕'과 '곧을 직' 자에는 모두 '눈동자(目)'가 들어있다. 해와 달이 바깥세상을 밝히듯이, 우리 몸에는 두 눈이 가야 할 길을 밝힌다. 결국 공부란 두리번두리번 내면의 덕을 찾는 과정이다. 이 덕이 개개인을 행복으로 이끌고, 공공적 지성을 열어간다.
『징비록』을 쓴 서애 류성룡은 임진왜란 당시 혼란상을 목도하고 "이러고도 우리가 오늘날 있는 것은 하늘이 도운 까닭이다"라고 했다. 그는 두 아들에게 부친 편지에서, 일찍이 퇴계가 손자에게 준 시를 인용한다. "소년 시절 산사의 즐거움 가장 아끼나니, 푸른 창 깊은 곳에 등불 하나 밝았구나. 평생에 허다한 그 모든 사업들이, 이 등불 하나에서 발원하여 나온다네."
세상의 부모들이 자식 공부시키는 뜻도 각자 "푸른 창 깊은 곳에 등불 하나 밝혀" 멋진 삶과 세상을 만들어 가보라는 것 아닌가. 교육, 교육 하지만, 사실 "마음 바로 쓰는" 인간이 만드는 일보다 더 큰 사업이 있을까.
다만 곧음이라는 것이 낡고 딱딱한 신념이 되어선 안 된다. 삶의 생동감은 순간순간의 소멸에서 나온다. 소멸하지 않으면 새로운 생성이란 없듯, 바르고 곧은 것일수록 수없이 에두를 때가 있다. 큰 곧음[大直]은 늘 빙 둘러서 가르치기에 굽은 듯하다[若屈]고 했다. 울퉁불퉁한 세월이 꾸부정한 우리네 인생을 가르치고 있지 않은가.
최재목 영남대 철학과 교수
댓글 많은 뉴스
유승민 "이재명 유죄, 국민이 尹 부부는 떳떳하냐 묻는다…정신 차려라"
"촉법인데 어쩌라고"…초등생 폭행하고 담배로 지진 중학생들
이재명 사면초가 속…'고양이와 뽀뽀' 사진 올린 문재인
"고의로 카드뮴 유출" 혐의 영풍 석포제련소 전현직 임직원 1심 무죄
대구경북 대학생들 "행정통합, 청년과 고향을 위해 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