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이 26일 대파 등 농축산물 가격 상승이 정부 정책 실패 때문이라는 야권의 비판에 "농축산물 가격은 외부 요인에 따른 변동이 크다"며 반박했다.
대통령실은 이날 홈페이지 '사실은 이렇습니다' 코너를 통해 "지난 정부에서 대파·계란 등이 최고 가격을 기록했고, 현 정부는 물가 안정을 위한 특단 대책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대통령실은 채소류가 가뭄·장마·폭설 등 기상 상황에 매우 민감하다면서 "필수 식자재인 대파는 겨울(전남), 봄(경기·전북), 여름(강원·경기) 등으로 주산지가 순환돼 일부 지역 피해의 파급력이 높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지난 정부 시기인 2020년~2022년에 채소류 가격이 가장 높은 흐름을 보였다"며 "2021년 3월 대파의 평균 소비자 가격이 6천981원까지 상승해 '파테크', '반려 대파'와 같은 신조어가 유행했다"고 했다.
대통령실은 또 현 정부가 농업인 생산자가 피해를 보지 않으면서도 소비자가 체감하는 시장 소매가격 상승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특단 대책을 시행하고 있다고 했다.
특히 도매가격은 일절 개입하지 않고 생산자 가격을 유지하면서 ▷납품단가 지원 ▷할인지원 ▷수입과일 직공급 등으로 소비자 부담을 덜고 있다고 설명했다.
대통령실은 "과일류 도매가격은 2023년 생산 감소로 인해 2023~2024년이 가장 높으나, 소매 가격은 지난 정부 시기인 2021년이 가장 높았다"고 했다.
최근 불거진 윤 대통령의 '875원짜리 대파' 발언에 대해선 "하나로마트 양재점이 대파를 875원으로 판매할 수 있었던 것은 정부 물가 안정 정책이 현장에서 순차적으로 반영됐고, 하나로마트 자체 할인 등이 포함됐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할인 전 가격은 4천250원이었지만, 여기에 납품단가 지원(2천원), 자체 할인(1천원), 농할지원(375원)이 적용돼 최종 가격이 875원으로 책정됐다는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