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지난 7일 재산 신고 누락 의혹으로 제명됐던 김홍걸 무소속 의원의 복당을 의결한 것을 두고 여권에서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민주당 혁신위원회가 복당이 결정된 지 사흘째인 9일까지 아무런 입장을 내지 않은 데 대해서도 "혁신위가 제 역할을 하고 있는게 맞느냐"는 지적이 나온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아들인 김 의원은 2020년 9월 재산 축소 신고와 부동산 투기 의혹으로 민주당에서 제명됐다. 당시 민주당은 '비상 징계'라며 김 의원 제명을 결정했지만 이내 '꼼수 탈당'이라는 비판이 나왔다. 비례대표로 당선된 김 의원의 경우 자진 탈당할 경우 의원직을 잃는 반면 당에서 제명될 경우 의원직을 유지할 수 있어서다.
신주호 국민의힘 상근부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민주당의 꼼수 탈당과 복당은 이제 일상이 돼버렸다"며 "민주당 혁신위는 쇄신안으로 꼼수 탈당 관련 대책을 내놓을 것으로 알려졌는데, 김 의원 복당은 혁신안에 먹칠하는 것 아닌가. 애초에 혁신이나 쇄신, 반성과 변화 등의 말은 민주당과 어울리지 않았음을 증명한 것"이라고 했다.
실제로 김 의원 복당 결정으로 정치권 관심은 민주당 혁신위로 쏠리고 있다. 지난달 23일 국회의원의 '불체포특권 포기'를 1호 혁신안으로 제시한 혁신위가 2호 혁신안으로 당 징계를 피하기 위한 '꼼수 탈당' 방지안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져서다. 혁신위는 9일까지 아무 입장도 내지 않은 상태다.
혁신위 측은 "아직 관련 내용을 논의하지 못했다. (회의에서) 논의하고 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