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지 아양아트센터 공연기획·홍보담당
코로나19로 인해 크게 타격을 입은 산업 중 하나가 관객과 함께 하는 공연일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한 장소에 모이는 것 자체와 가까운 거리에서 시행하는 것을 규제하면서 공연 산업은 많은 차질이 빚어졌다.
다행히 작약이 아름답게 만발한 계절과 코로나 엔데믹이 겹쳐지며 야외 활동이 더 활발해지고 그동안 주춤하던 공연 산업도 활기를 띠고 있다.
코로나 기간 중 바뀐 우리의 풍경 중 하나가 바로 비대면이다. 배달 앱이나 원격 학습, 원격 의료, 무인 상점의 확대 등 비대면 산업이 시나브로 퍼져나가고 있다. 이제는 대면으로 진행되는 사업이 어색할 정도다.
공연 산업 역시 디지털 미디어의 기반을 둔 일명 '온택트' 공연이 유행 아닌 유행처럼 번졌었다. 온택트 공연은 비대면을 의미하는 언택트(Untact)에 온라인(On)을 통한 연결이라는 의미가 더해진 개념으로, 공연 산업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하며 전세계적 트렌드로 자리 잡았다.
팬데믹과 온라인 미디어가 컬래버레이션을 이루는 시대에 부합되는 새로운 범주가 만들어졌다고 봐야 할지는 모르겠으나, 당시 대면으로 기획한 공연을 갑작스럽게 온택트로 시행했을 때는 사실 마음이 그리 편치 않았다. 무대 경험이 많지 않은 대학생들의 무대였는데, 관객들과의 호흡을 기대했을 연주자들의 생각에 마음이 아팠었다. 관객들과 연주자들의 들뜬 호흡이 모여 정체 모를 긴장감이 어우러진 무대 위의 짜릿한 경험을 온전히 쥐어주지 못한다는 기분이 들어서였던 것 같다. 뭔가 그들이 당연히 가져야 할 행복을 앗아간 느낌이 들었다고 해야 할까.
엔데믹을 맞이한 이 시점에서도 공연 산업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가 그 이전과 같은 상황으로 온전히 돌아가지는 못할 것이다. 저마다 마음속에 코로나19로 인한 트라우마가 아직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공연 산업은 이러한 트라우마를 지우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이것이 문화 예술이 가져야 할 가장 큰 역할이 아닐까 싶다. 공연 산업이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려면 공연예술의 제작과 수용방식은 온·오프라인을 병행하는 구조로 점차 변화하는 상황을 적절히 수용해 활용해야 한다. 물론 대면 공연만큼 집중력을 높이는 방법부터 저작권 문제 등 보완해야 할 문제들이 남아 있지만, 사회가 필요로 하고 공연 산업이 발전할 수 있는 길이라면 함께 발전시켜 나가야 할 이유가 있을 것이다. 이는 선택의 문제가 아닌 적응 과제라고 말해야 하지 않을까.
관객의 입장과 문화 예술의 교육을 받는 것 등의 수요자 입장에서는 비대면에 대한 선입견이 많았으나, 코로나19 시대를 지나오며 현재는 이런 선입견이 깨진 것으로 보인다. 공연 산업 종사자로서 앞으로 이런 선입견이 얼마나 더 깨질 수 있을지가 궁금해진다.
우리는 앞으로 일어날 변화에 대해 목적 없이 실행해서는 안된다. 온택트가 아닌 어떤 접근 방식이 더 존재하고 있을지, 우리는 그것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는지 생각해봐야 한다. 그리고 이 모든 것들로부터 앞서 생각해야 하는 것이 있다면 다가올 현상들로 인해 문화 산업이 올바르게 발전할 수 있는지, 그리고 공연 산업을 통해 우리가 진정 행복해질 수 있는지 하는 것들일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국힘, '한동훈·가족 명의글' 1천68개 전수조사…"비방글은 12건 뿐"
사드 사태…굴중(屈中)·반미(反美) 끝판왕 文정권! [석민의News픽]
"죽지 않는다" 이재명…망나니 칼춤 예산·법안 [석민의News픽]
尹, 상승세 탄 국정지지율 50% 근접… 다시 결집하는 대구경북 민심
"이재명 외 대통령 후보 할 인물 없어…무죄 확신" 野 박수현 소신 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