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수 의원 "OTT 자체등급분류제도 28일 시행…제도적 보완 필요"
최근 넷플릭스 등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에서 제공된 콘텐츠 5건 중 1건이 '청소년 관람불가' 등급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김승수 국민의힘 의원(대구 북구을)이 26일 영상물등급위원회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최근 3년간 국내외 OTT 등급분류 심의를 진행한 콘텐츠 8천365편 가운데 1,763편(21%)이 청소년 관람불가 등급을 받았다.
등급별로는 15세 이상 관람가 2천555편(30.5%), 전체 관람가 2천263편(27.1%), 12세 이상 관람가 1천784편(21.3%) 순이었다.
특히 국내외 OTT플랫폼에서 제공한 청소년 관람불가 등급 영상물 1천763편 가운데 64.9%에 이르는 1천145편이 넷플릭스 콘텐츠인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같은 기간 디즈니플러스에서는 195편, 티빙 147편, 웨이브 126편, 쿠팡플레이 57편, 왓챠 50편, 애플TV플러스 43편 등이 청소년 관람불가 등급을 받았다.

국내에서 가장 많은 OTT 이용자를 보유한 넷플릭스는 최근 사회적 반향을 일으킨 '더 글로리' 와 '나는 신이다' 콘텐츠가 노출 장면으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아울러 OTT 자체 등급 분류제도 시행을 앞두고 보완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승수 의원은 "국내외 OTT 시장이 급성장한 가운데 마약, 폭력, 음주 등 청소년에게 유해한 영상물이 무방비로 노출되고 있다"며 "오는 28일부터 시행하는 OTT 자체등급분류제도가 오히려 OTT 업계의 시청률 경쟁으로 이어져 영상물 연령 등급을 낮출 수 있다"고 언급했다.
김 의원은 "콘텐츠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자체등급분류제도의 필요성은 인정되지만, 청소년들의 유해 콘텐츠 노출에 대한 문제도 고려해야 한다"며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제도적 보완과 함께 영상물에 대한 엄격한 사후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