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교육청, '대구늘봄학교' 연구학교로 4개 학교 선정
"돌봄 수요가 많은 학교로 최종 선정"
4개 학교는 오는 3월부터 저녁 8시까지 돌봄교실 운영
대구시교육청은 지역 여건에 맞는 늘봄학교 모델 마련을 위해 서대구초, 황금초, 대덕초, 구지초 등 4개교를 연구학교로 최종 선정했다고 14일 밝혔다.
늘봄학교란 학교 안팎의 다양한 교육자원을 활용해 희망하는 초등학생에게 정규수업 전후로 제공하는 양질의 교육‧돌봄(Educare) 통합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번에 선정된 4개 학교는 '국정과제 초등 전일제 학교' 및 교육부의 늘봄학교 추진 방향을 토대로 교육·돌봄 국가책임 강화 모델을 마련하기 위해 오는 3월부터 '늘봄학교' 연구 과제를 수행하게 된다.
이번 연구학교의 중점과제는 ▷입학 초기 에듀케어 집중 지원 ▷방과 후 연계형 틈새 돌봄 프로그램 무상 운영 ▷돌봄 유형의 다양화(오후 8시까지 돌봄교실 운영) ▷지역 연계 방과 후‧돌봄 프로그램 운영 등으로 늘봄학교를 단계적으로 확산하기 위해 학교별 여건에 맞는 일반화 모델을 개발해 2025년 이후 늘봄학교 전면 시행에 대비할 예정이다.
서대구초는 전교생 147명(10학급), 맞벌이 가정 80% 이상, 다문화학생 비율 53%인 서구 공단지역 소규모 학교로서, 학교에서 운영하는 돌봄 및 방과 후 학교에 대한 학부모의 의존도가 매우 높은 곳이다.
이에 따라 서대구초는 학부모의 돌봄 공백을 해소하기 위해 돌봄교실 운영 시간을 오후 8시까지 확대하고, 다양한 지역사회 자원 및 교육기부를 활용해 다함께 행복한 돌봄공동체 모델을 개발해 나갈 예정이다. 특히, 수요조사를 통해 서대구초 외 인근 4, 5개의 소규모학교의 저녁 돌봄 수요를 흡수해 저녁 돌봄 거점학교 역할을 수행할 계획이다.
수성구에 있는 황금초는 전교생 760명(29학급), 돌봄교실 수요가 182명으로 이번 연구학교 중 규모가 가장 큰 학교다. 돌봄교실에 대한 학부모들의 참여 요구가 많고, 수성구 청소년수련관 및 황금동 지역아동센터 등 지역 유관기관과의 협력이 잘 이뤄지고 있다. '아이돌봄 공동체 프로그램 운영'을 주제로 초등학교 1학년 대상 방과 후 스쿨케어 프로그램, 초등 2~6학년 대상 교과 보충 및 SW-AI 프로젝트 무상 수업 등 특색 있는 방과 후 돌봄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남구에 있는 대덕초는 전교생 228명(13학급), 오후 돌봄 49명으로, 주변 인프라 부족으로 돌봄 및 교육에 있어 학교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남는 교실과 특별실을 활용해 놀이 중심의 1학년 입학 초기 집중 지원 강좌 개설, 주지교과 보충교육 및 체험형 미래직업 탐색 프로그램 운영 등을 다채롭게 진행할 예정이다.
전교생 513명(23학급) 규모의 달성군에 있는 구지초는 맞벌이 가정의 45%, 신입생의 44.7%가 돌봄 교실을 신청한 학교다. 농촌 지역에 아파트 단지를 조성함으로써 학생 수가 늘고 있으나 교육·문화예술적 인프라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지역에 있다. 'EVER-GREEN 늘봄학교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이 즐겁고 보람찬 방과 후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아침‧틈새‧저녁 돌봄 등 다양한 돌봄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시교육청은 연구학교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한 학교당 1명씩 한시 기간제 인력(돌봄전담사)과 연구학교 운영비 2천만원을 지원하고 방과 후·돌봄교실 예산도 추가로 투입한다. 늘봄학교 운영추진단을 구성해 저녁 돌봄을 위한 안전 관리, 봉사 인력 및 석‧간식 지원 등도 추진한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이번에 선정된 4개 학교는 오는 3월 신학기부터 저녁 8시까지 돌봄교실을 운영하게 된다"며 "연구학교 이외 학교에 대해서도 올해 6월 중순부터 희망할 경우 초1 에듀케어 프로그램 및 틈새 방과 후 프로그램 운영비를 지원할 방침"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