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운임제 폐지 등 일몰 법안·민생 법안 여야 협의 없이 '공전'
무인기 침투·이재명 대표 소환 놓고 제대로 맞붙을 전망
더불어민주당이 '민생·안보 위기'에 대한 대응을 명분으로 1월 임시국회를 열었지만, 각 사안마다 여야 간 시각차가 커 합의를 이룰만한 사안이 있을지 미지수인 상황이다.
24일 정치권에 따르면 여야 간 대표적인 쟁점 사안 안전운임제 일몰 폐지에 관한 화물자동차운수사업법 개정안은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 계류된 채 전혀 논의되지 않고 있다.
30인 미만 사업장에 대한 8시간 추가연장근로를 허용하는 근로기준법 개정안과 노동자들의 파업에 대해 손해배상 청구를 제한하는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개정안(노조법)'을 논의하기 위한 환경노동위원회 고용노동법안심사소위원회는 이달 들어 한 번도 열리지 못했다. 이는 여야 의원 간 시각차가 커 협상의 여지가 없기 때문이다.
환노위 여당 간사인 임이자 의원은 "노조법 개정안은 반헌법적인 요소가 있어 합의할 수 없어 소위 안건에 올리지 말자고 했는데 (지난 소위 때) 민주당이 안건을 올렸다"고 했다. 이에 윤건영 의원은 "(여야가 소위에서 안건을) 논의라도 해봐야 하는 데, (여당에서) 이 조차 막고 있다"고 주장했다.
민주당 의원들은 노조법과 관련한 당내 합의가 이뤄질 경우 신속처리 안건으로 지정해 환노위를 통과시키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 이에 여야 간 대립이 지속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여성가족부 폐지를 골자로 한 정부조직법 개편안도 여야 간 협상이 길어지고 있다. 민주당 측은 여성가족부 폐지가 아니라 오히려 기능 확대를 주장하고 있다. 김 의장은 이날 기자들에게 "민주당이 아니라 대한민국 여성이나 여성 단체들이 받아들일 수 있는 안을 정부가 낼 수 있느냐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여성가족부 폐지는 윤석열 대통령 선거 공약으로 여당도 물러나기 어려운 형편이다.
남은 1월에도 여야 간 격돌은 계속될 전망이다. 북한 무인기의 서울 상공 침투를 놓고 여야는 26일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맞붙는다. 민주당은 현안 질의에 대비해 지난 16일 무인기 침투 관련 전문가 토론회를 열고 대통령실 비행금지구역 변경 등 영공 방위 현황과 군 지휘체계 문제점을 분석하기도 했다. 민주당은 현안 질의에서 제대로 날을 세울 것으로 보인다.
28일 이재명 대표의 검찰 출석도 여야 갈등의 뇌관이 될 전망이다. 성일종 국민의힘 정책위 의장은 이날 설 연휴 민심을 전하며 "대선후보와 당대표로서 이렇게 많은 범죄혐의를 받는 공인을 본 적이 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검찰 수사에 대한 야당의 비판에 대해 "문재인 정부 시절, 채널A 사건, 울산시장 부정선거 의혹 사건, '생태탕', 김대업 병풍조작사건 같은 것들이 정치공작"이라며 야당과 각을 세웠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국정 지지도 48.3%…50%선 '붕괴'
대통령실, 이진숙 방통위원장 직권면직 검토
"아빠, 왜 돈 준다는 아저씨 뽑았어요?"…이준석이 올린 동영상 화제
[야고부-석민] 여론 조사? 여론 조작?
'대여 투쟁' 단일대오로 뭉치는 국힘…조경태 포용 가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