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상승·부동산 부진 영향…당국도 총량관리 사실상 중단
올해 은행권 가계대출이 지난해보다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통계 작성을 시작하고 18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 기록을 세울 거란 전망이 나온다. 최근 금리가 치솟고 부동산·주식·코인 등 자산 시장이 얼어붙은 영향이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 15일 기준 693조6천469억원으로, 작년 말(709조529억원)보다 15조4천60억원 줄었다. 주택담보대출(전세대출 포함)이 1년 사이 6조3천564억원 늘었지만, 신용대출은 18조2천68억원 급감했다. 저축은행·상호금융 등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을 포함한 전체 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 역시 올해 들어 10월까지 9조6천812억원 감소했다.
올해 은행과 전체 예금취급기관 가계대출 잔액은 2003년 10월 통계 작성 이후 18년 만에 첫 감소 기록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대출자들이 감당하기 부담스러운 수준까지 금리가 뛰었기 때문이다. 올해 초 4%대 후반이던 시중은행의 주택담보·신용대출 금리 상단이 최근 8%에 다가서자 대출자들은 마이너스 통장을 포함한 신용대출부터 갚는 추세다.
금융 당국의 가계대출 관리 기조에도 변화가 감지된다. 주요 은행은 아직 당국에서 '2023년도 가계대출 총량 관리 목표를 내라'는 주문을 받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당국은 매년 12월 초순 은행들에 다음 해 가계대출 증가액과 증가율을 어느 수준까지 허용할지 구체적 수치로 제출할 것을 요구했다. 은행이 목표 계획서를 내면 당국은 목표 조정을 유도해 왔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