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전 '완승' 이준석…내년 1월 대표 복귀 현실화?

입력 2022-08-26 18:03:48 수정 2022-08-26 20:38:38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가 지난 13일 오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당 비상대책위원회 체제 전환에 대한 가처분 신청 등과 관련해 직접 입장을 밝힌 뒤 질의응답 시간을 갖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가 지난 13일 오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당 비상대책위원회 체제 전환에 대한 가처분 신청 등과 관련해 직접 입장을 밝힌 뒤 질의응답 시간을 갖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과 법적 다툼 '1차전'에서 사실상 완승을 거둔 이준석 전 대표는 향후 본안 소송과 성상납 의혹 수사 대응에 집중하며 당 대표 복귀를 위한 반격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법원이 26일 '주호영 비대위'에 대한 이준석 전 대표의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받아들이면서 이 전 대표는 법적으로 대표직을 되찾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날로 주호영 비상대책위원장의 직무가 정지되면서 이 전 대표는 당 대표직을 되찾고 직무가 정지된 '사고' 상태가 됐다는 것이다.

벼랑 끝에서 정치적 명에회복의 발판을 마련한 이 전 대표는 지지세를 키우며 당원권 정지 징계가 종료되는 내년 1월 복귀를 노릴 것으로 보인다.

지난 24일 이 전 대표는 SBS에 출연, 가처분신청 결정 이후 행보와 관련해 "인용되면 제가 할 건 없고 당원들을 만나고 다니면서 소통할 것"이라고 말했다.

자신의 핵심 지지층인 '이대남'(20대 남성)을 중심으로 지지세를 키워 당권 재장악을 위한 기반을 다지려는 복안이다.

이 전 대표 측에선 이날 법원 결정에 일제히 환영의 뜻을 밝혔다.

이 전 대표 변호인단은 입장문에서 "사법부가 정당 민주주의를 위반한 헌법파괴 행위에 내린 역사적인 판결"이라며 "국민의힘은 이 같은 법원의 결정을 엄중히 이행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전 대표와 함께 범친유(친유승민)계로 분류되는 하태경 의원도 자신의 페이스북에 "법원이 우리당의 폭주에 제동을 걸었다"며 "이제라도 민주적인 정당으로 재탄생하는 근본적인 변화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 전 대표가 그리는 '복귀 시나리오'가 순탄치 않을 것이라는 비관론도 만만치 않다. 국민의힘이 법원의 가처분신청에 불복하며 이의신청 불발 시엔 항고까지 검토하겠다고 밝히면서 법적 공방이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아울러 성상납 의혹에 대한 사정 당국의 수사 결과에 따라 정치 생명 자체가 좌우될 수 있어 '본격적인 공방은 이제부터가 시작'이라는 말이 당 안팎에서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