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국민의힘 대표의 '작심' 기자회견에 대해 대통령실 측은 "공식 입장이 없다"고 말을 아꼈다.
이 대표를 만날 뜻을 밝혀왔던 주호영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추가 회동 가능성에 선을 그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13일 이 대표의 회견 직후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이 대표 회견과 관련해 공식 입장을 낼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다만 대통령실은 현재 윤 정부 국정 지지율이 20%대를 기록하는 등 저조한 상황에서 이 대표의 이날 회견이 대통령실이나 여당에 대한 여론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주시하는 모습이다.
대통령실의 다른 관계자는 "발언 내용에 모두 대응할 수는 없지만 30∼40대 등 국민 정서에 어떤 영향을 줄지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표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윤 대통령을 향해 "민심은 떠나고 있다"며 "대통령이 원내대표에 보낸 어떤 메시지가 국민의 손가락질을 받는다면 그것은 당의 위기가 아니라 대통령의 지도력의 위기"라고 직격했다.
그는 또 "최근 여당과 정부에 대한 젊은 세대의 기대치가 급전직하한 것은 여가부를 폐지하지 않아서가 아니라 아젠다를 발굴하고 공론화하는 능력을 상실했기 때문"이라며 "젊은 세대가 논쟁하고 싶어할, 과감하고도 전격적인 행보들은 시기를 놓쳤고, 그 기대가 되살아나지 않으면 젊은 세대는 이 정부를 본인들의 정부로 생각하지 않을 것"이라고 직격했다.
한편, 주 비대위원장은 이날 기자회견 이후 머니투데이 the300과 통화에서 "(이 대표가)안 만난다는 데 더이상 무슨 대응이 있겠나"라고 일축했다.
앞서 주 비대위원장은 지난 9일 취임 직후부터 "빠른 시간 안에 이 대표께 연락을 드려서 만나고 싶다"는 뜻을 밝혀왔으나, 이 대표 측에서 접촉에 응하지 않아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표는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 이후 이어진 기자들과의 질의응답에서 "주 비대위원장의 인품이 매우 훌륭하지만 주 비대위원장이 할 말이 있다고 해도 듣지 않는 것이, 그리고 저도 드리지 않는 것이 주 비대위원장에게도 낫겠다는 판단하고 있다"고 회동 가능성에 선을 그었다.
이어 "이 사태와 관련해 주 비대위원장은 어떤 책임도 없다. 주 비대위원장이 저에 대해 험담을 한 것도 아니고 문자를 노출한것도 아니다. 그런데 주 비대위원장과 제가 어떤 얘기를 나눠야 하는가"라며 "당에서도 주 비대위원장에게 곤란할 상황을 등 떠밀지는 않았으면 좋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