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尹당선인, 이르면 내주초 회동 가능성…실무협의 급물살

입력 2022-03-26 15:34:56 수정 2022-03-26 16:58:57

문재인 대통령이 22일 오전 청와대 여민관에서 열린 영상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 사진)/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2일 오전 서울 종로구 통의동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사무실에서 열린 인수위 간사단 회의에 참석해 자리에 앉아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22일 오전 청와대 여민관에서 열린 영상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 사진)/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2일 오전 서울 종로구 통의동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사무실에서 열린 인수위 간사단 회의에 참석해 자리에 앉아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만남이 이르면 다음주 초 전격 성사될 것으로 전망된다.

문 대통령 임기 말 인사권 행사 문제 중 하나인 '감사위원 임명건'이 해소되면서 교착 상태에 빠졌던 실무 협의가 급물살을 탈 조건이 마련됐다는 분석이다.

감사원은 지난 25일 인수위 업무보고에서 "정치적 중립성과 관련된 논란이나 의심이 있을 수 있는 상황에서 제청권을 행사하는 것이 적절한지 의문"이라고 밝혔다.

최재해 감사원장이 새 감사위원 제청을 사실상 거부함에 따라 문 대통령의 임명 강행도 불가능해지게 된 셈이다.

이철희 청와대 정무수석과 장제원 당선인 비서실장 간 소통 채널도 물밑에서 다시 가동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수석은 최근 허심탄회하게 대화를 나누면 문제가 잘 해결될 것이라는 의사를 장 실장에게 전달했으며, 장 실장도 열린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 측은 회동 성사 여부는 윤 당선인 측에 달렸다는 입장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 24일 "당선인이 대통령을 예방하는 데 협상과 조건이 필요했다는 말을 들어보지 못했다"며 조건 없는 열린 대화를 강조한 바 있다.

윤 당선인 측 역시 문 대통령과의 갈등이 길어지는 게 득이 될 게 없다고 판단한다면, 전제 조건 없이 일단 만나자는 청와대의 요구를 전격 수용할 여지도 있다.

이에 따라 양측이 주말 중에 긴밀히 연락을 주고받으며 회동 일정을 조율한다면 당장 다음주 월요일(28일)에라도 회동이 열릴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한편, 문 대통령과 윤 당선인이 일요일인 27일까지 만나지 못할 경우 신·구 권력 회동 지연 기간으로 '역대 최장' 기록을 세우게 된다.

현재까지는 1992년 노태우 당시 대통령과 김영삼 당시 당선인이 대선 후 18일 만에 만난 것이 가장 늦은 대면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