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탈포항 논란] 포항제철 산 증인 이대공 포스코 전 교육재단이사장의 회고
포스코 지주사가 포항을 떠나면 안 되는 이유 중 하나로 지적되는 것이 포항제철로 설립 당시 포항지역의 희생을 기억하고 두고두고 상생해야 한다는 창립자 고 박태준 회장의 유지이다.
고 박 회장과 포항제철 창립을 함께 했던 퇴직자들은 포항제철 설립 당시 제대로 된 부지 보상이나 어업권 보상이 이뤄지지 않았고 이를 가슴 아프게 생각한 고 박 회장이 포항제철 광양제철소를 건설할 때는 제대로 보상을 지시했던 것으로 회고하고 있다.
포스코 지주사 포항이전 범시민대책위에 참가한 이대공(82) 전 포스코교육재단이사장은 "지난 1967년 10월 1일 장기영 국회부의장이 포항 송도에 와서 저 자리가 포항제철이 설 자리다고 했다. 이미 포항제철이라는 이름도 고 박정희 대통령이 미리 직접 정한 것이다"고 했다.
이 전 이사장은 "당시 땅을 반값도 안 되는 가격에 수용했다. 우리나라가 돈이 없기 때문에 부득이 주민들의 희생이 뒤따랐다. 내가 증인이기도 하다. 내 땅이 효자 검문소(포항시 남구) 방향에서 제철소로 들어가는 쪽 539평을 2천700원에 샀는데 3년 만에 900원에 강제 수용 당했다"고 했다.
이 전 이사장은 "그래서 이러한 보상 과정에서 지역민들의 희생에 대해 박태준 회장은 굉장히 마음 아프게 생각했다. 두고두고 포항에 주소를 두고 세금을 내라는 유지를 남겼다"고 했다.
하지만 포항의 보상 잔혹사를 기억한 고 박 전 회장은 1980년대 중반에 시작된 포항제철 광양제철소 조성에 대한 파격적 보상을 지시했다.
이 전 이사장은 "갯벌에 지어야 하는데 조개를 잡아 애들 공부시키고 생업을 한 주민들에 대한 보상 문제가 있었다. 당시에는 국영기업이라 근거(매출자료) 없는 보상은 감사원 감사 대상이었다. 정상적으로는 불가능했다"고 했다.
결국 주민들과의 송사는 근거를 남기기 위한 불가피한 과정이었다.
이 전 이사장은 "당시 재판관이 고교·대학 동기 동창인 송모 부장판사였다. 송 판사가 '주민들이 살아있고 애들 대학시킨 게 증거로 보고 보상할 수 있다'고 해 이를 박태준 회장에게 이를 보고하니 박 회장은 '송 부장판사한테 되레 최고액으로 판결해 달라는 뜻 전하라'고도 했다"고 기억했다.
이 전 이사장은 "그래서 송 부장판사를 만나서 박 회장님의 뜻을 전했고 제대로 보상이 이뤄 질 수 있었다. 박태준 회장은 포항제철 건설 당시 반값 이하로 남의 땅을 빼앗다시피 해 너무나 가슴 아프게 생각해 광양에 제대로 보상을 하고 포항에 진 빚은 두고두고 갚아야 한다고 했다"고 회고했다.
이 전 이사장은 포항제철의 출발부터 고 박 회장의 가까이에서 오랫동안 일한 포항제철의 산증인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