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본격 설득전 채비…이념보다 현실적 투표 경향
李·尹 '비호감' 후보 이미지…MZ 맞춤형 프로그램 등 준비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그동안 핵심지지층이었던 민주화세대(40대)와 산업화세대(60대 이상) 유권자를 균점하면서 내년 3월 9일 치러지는 대선은 이른바 'MZ세대'인 2030 유권자가 결정권을 쥘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최근 실시된 각종 여론조사에서도 이재명 민주당 대선후보는 40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는 60대 이상에서 지지세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MZ세대'(1980~2000년대 출생 세대)는 문재인 정부 출범에 기여했지만 유례없는 취업난, 조국 사태, 부동산값 폭등을 거치면서 문 정부에 등을 돌렸다.
하지만 국민의힘도 4·7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덕을 봤을 뿐 확실한 대안역할을 하지 못 했다. 이번 대선 경선에서 홍준표 의원(대구 수성구을)이 이들의 울분을 풀어줄 정치인으로 발돋움할 가능성을 보였지만 최종 관문을 통과하진 못했다.
MZ세대는 대체로 특정 이념에 쏠리기보다는 삶의 질과 자아실현 등에 관심이 높고 현실적인 투표를 하는 경향이 강하다.
전국단위 투표에서의 영향력도 상당하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집계에 따르면 가장 최근의 선거인 지난해 총선에서 세대별 유권자 비율은 2030(18~19세 포함)이 34%였다. 4050은 38.7%, 60대 이상은 27.3%다.
그동안 '투표일에 놀러가는 세대'로 낙인찍혀 '덩치'에 비해 제대로 대접을 받지 못했지만, 촛불과 탄핵정국에서 '정의'를 외치며 거리에 쏟아져 나와 정치적 효능감을 맛보면서 무시할 수 없는 세력으로 자리매김했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2030세대는 생애 중 뚜렷한 공동 경험(가치관)을 보유한 세대가 아니기 때문에 투표성향도 일관성을 보이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이들을 대상으로 선거캠페인을 펼칠 때 가장 어려운 점은 투표 결과를 전혀 예측을 할 수 없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지난 5일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 확정 후 사흘 동안 국민의힘을 탈당한 책임당원은 3천명에 달한다. 이 가운데 75%는 2030세대라고 한다. 2030세대에게 '비호감' 후보로 찍히기는 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도 별반 다를 게 없다. 대선 승리를 위해서는 두 후보 모두 2030세대를 지지층으로 끌어들여야 한다.
특히 지난 4·7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와 36살 청년 정치인 이준석을 대표로 뽑은 국민의힘 당 대표 선거 등에서 목소리를 키운 이들의 표심이 이번 대선의 향방도 좌우할 가능성이 크다.
이에 각 후보들은 2030세대 설득에 공을 들이고 있다. 민주당은 오는 12일부터 전국 민생탐방 캠페인에 나선다. 각 현장에서 2030 청년층과의 교감을 높이는 'MZ세대 맞춤형 프로그램'을 가동한다.
국민의힘은 대선경선 이후 이탈하는 젊은이들을 잡을 수 있는 방안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선대위가 꾸려지는 대로 2030세대 설득을 위한 본격적인 활동엔 나선다는 계획이다.
한길리서치가 지난 5일부터 7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천5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를 실시한 결과, 18세부터 29세까지 성인 남녀 140명(가중값 175명) 중 11.1%가 차기 정부에 일자리 창출 및 실직자 지원 정책을 바랐다. 부동산 정책과 경제 활성화를 선택한 비율도 각각 39.5%, 35.0%였다.
반면, 복지와 재난 구제 응답률은 전무(0%)했다. 남북한 대화와 평화통일을 주요 과제로 꼽은 비율도 4.4%에 그쳤다.
30대도 부동산 정책(31.5%)과 경제 활성화(32.6%)를 우선으로 생각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